[문화人 칼럼] 식장산(食莊山)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 칼럼] 식장산(食莊山)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5-02-05 16:47
  • 신문게재 2025-02-06 19면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4120401000313300011891
백남우 회장.
식장산(食藏山)은 대전광역시 동구와 충청북도 옥천군에 걸쳐 있는 표고 598m의 산으로 대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이산은 주민들에 의해 식경산, 법장산, 대성산 등 다른 이름으로도 불려진다. 동구 삼정동에서 옥천군 군북면 자모리로 넘어가는 자모실고개(장고개)가 있다. 탄현(炭峴)이라고도 하는 이곳은 삼국시대의 백제가 군량을 저장하고 신라의 침공을 방어하던 요충지였다고 하여 식장산이라 불렀다 한다. 이 산에는 대전 유일의 고찰인 고산사(高山寺)가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회덕현 불우조)에 "고산사는 식장산에 있다"고 되어 있다. 이 산에서 기도를 하면 소원이 잘 이루어진다고 하여 대성동의 뒷산인 식장산을 대성산이라고도 한다. 또한 고산사 대웅전 수리 때 상량문에 법장산 법장사(法藏山 法藏寺)라는 기록이 발견되어 이산을 법장산이라 불리었음을 알 수 있다.

식장산의 험난한 지형은 자연의 요새지로 삼국시대뿐만 아니라 한국 전쟁 때 대전 전투의 격전지로 현재도 국방상의 요지이다. 삼정동 경부선철도 변에 있는 김재현 기관사 순직비가 있어 이를 대변한다. 백제의 충신 성충(成忠)은 옥중 상서에서 "앞으로 병화(兵禍)가 있을 것이니 만일 적병이 오거든 육로는 탄현을 넘지 못하게 하고 수로는 기벌포(伎伐浦)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고 하였다. 결국 신라는 이 탄현을 넘고 백제는 패망하였다. 탄현으로 추정되는 장고개 주변 국사봉과 꾀꼬리봉 등 식장산 능선 줄기를 따라 여러 산성과 보루가 지금도 남아 있다. 이 일대는 삼국시대부터 백제와 신라의 길목으로 교통의 요지가 되었고 현재도 경부선철도와 경부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곳은 경부선철도를 부설할 때 작업이 어려운 구간이었고 고속도로와 고속철도의 터널이 집중되어 있는 험난한 곳이다.

학창 시절 기억에 동구 대성동에 있는 식장산의 고산사는 소풍 장소로 유명했었다. 흙먼지 펄펄 날리던 비포장 대전-금산 간 국도를 따라 가오동 변전소를 지나면 대성동 삼거리가 나온다. 대성리 공동묘지를 지나 한산한 산길을 힘겹게 오르면 '고산사' 가는 길이 아니라 '고생사' 가는 길이라는 푸념이 절로 나왔다. 고산사는 대웅전, 목조석가모니불좌상, 아미타불화 등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가 있는 고찰이다. 인근에 전하는 '은어송 전설'은 고산사 스님 범흥과 나무꾼 은어송과의 이야기가 담긴 전설이다. 고산사 근처에는 이사동 오두산 격전지의 주인공 이규홍 의병장의 마지막 항일 항전지인 장군바위도 있다.

세천유원지 인근 산을 지역민들은 수도산이라 불렀다. 이곳의 수원지는 1934년 만들어진 대전 최초의 상수원으로 대청호의 물을 수돗물로 쓰기 전까지 대전 시민의 식수원이었다.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어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1996년 생태 보전림으로 지정되었다. 해방 후 땔감이 부족해 유일하게 숲이 보존된 수도산은 나무꾼들이 넘쳐 났다. 식장산은 새해 첫날 일출 명소로도 유명하다. 「식장산하 가활만인지지(食臧山下 可活萬人之地)」라는 옛말도 전한다. 식장산 아래에 만인이 편안하게 살 곳이라는 것이다. 식장산은 대전의 상징이자 대전을 수호해 준 시민들과 희노애락을 함께 해온 산이다. 우리 조상들은 산을 경외시했다. 산을 오르는 것이 아니라 산에 든다고 했고, 산은 날을 타고 가는 것이 아니라 성황당이 있는 재(고개)를 넘는다고 했다. 지금은 폐허처럼 남아 있는 인근 증약터널의 입구에는 '악신경분'(嶽神驚奔)이라는 문구가 쓰인 액석이 있다. 그때 놀라서 떠났던 식장산의 산신령이 다시 돌아와 우리의 염원을 이루게 해줄 정령이 깃든 산으로 식장산을 우리는 아끼고 보존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2. 충남교육청, 교육공동체 함께하는 '책심(心)키움 마당' 운영
  3. 세종충남대병원, 410g 초극소 이른둥이 생존 화제
  4. 전국 최고의 이용기술인은?
  5. 충남도의회, 경로당 내 친환경 식재료 확대 방안 모색
  1. "양수발전소로 금산 미래 발전 이끈다"… 충남도, 민선8기 4년차 금산 방문
  2. 2026 세종시 지방선거 킥오프? 입후보 예정자 다 모여
  3. 내포∼세종 연결도로망 구축 청신호
  4. 장기요양기관 법령 이해도 높인다...경진대회 성료
  5. "대한민국 대표 치유·힐링 중심지로"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2차 자문위원 회의

헤드라인 뉴스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CTX 민자적격성조사 통과… 충청 광역경제권 본격화

대전과 세종, 충북을 통합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사업 추진이 본격화 됐다. 4일 국토교통부와 대전시에 따르면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급행철도인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CTX) 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민자적격성 조사는 정부가 해당 사업을 민간투자 방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이번 통과는 CTX가 경제성과 정책성을 모두 충족했다는 의미로 정부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내포 수년간 방치되던 공터, 초품아로… 충남개발공사 "연말 분양 예정"
내포 수년간 방치되던 공터, 초품아로… 충남개발공사 "연말 분양 예정"

내포신도시 건설 이후 수년간 방치됐던 공터가 '초품아(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로 탈바꿈한다. 아파트 숲 속 허허벌판으로 남겨졌던 곳에 대규모 공사가 시작되면서 인근 주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5일 충남개발공사 등에 따르면 내포 RH-14블럭인 홍성군 홍북읍 신경리 929번지 일원에 'e편한세상 내포 에듀플라츠'를 건설 중이다. 공사를 총괄하는 시행사는 충남개발공사가, 시공사는 DL이앤씨가 맡았다. 총 세대수 727세대인 해당 아파트의 대지면적은 3만 8777.5㎡로 지하 2층~지상25층 규모, 10동이 들어설 예정이다. 세대구..

美 AI 버블 우려 확산에…코스피 올해 두 번째 매도 사이드카 발동
美 AI 버블 우려 확산에…코스피 올해 두 번째 매도 사이드카 발동

연일 신고점을 경신하던 코스피가 5일 인공지능(AI) 고평가 우려와 버블론 확산으로 지수가 크게 떨어지며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이날 한국거래소는 오전 9시 36분 코스피 시장에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올해 4월 7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로 인해 증시가 크게 출렁인 후 올해 두 번째 사이드카다. 오전 10시 30분에는 올해 처음으로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도 발동됐다. 코스피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간 지속되는 경우, 코스닥은 코스닥 150선물지수가 6%, 코스닥..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야생동물 주의해 주세요’

  •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모습 드러낸 대전 ‘힐링쉼터 시민애뜰’

  • 돌아온 산불조심기간 돌아온 산불조심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