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초등생 피습] 학교·경찰까지 나섰지만 아이 발견한 건 할머니

  • 사회/교육
  • 사건/사고

[대전 초등생 피습] 학교·경찰까지 나섰지만 아이 발견한 건 할머니

학교밖 아닌 교내 돌봄교실 20m 떨어진 시청각실 자재창고서 발견
교직원과 경찰 수색 불구 1시간 동안 못찾아… 초동대처 미흡 지적

  • 승인 2025-02-11 18:13
  • 수정 2025-02-11 23:16
  • 신문게재 2025-02-12 3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clip20250211181037
10일 초등학생 피살 사건이 발생한 학교에서 경찰이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사진=정바름 기자)
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여교사에 의해 숨진 김하늘(8)양이 실종된 지 약 1시간 만에 학내에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된 가운데, 학교와 경찰의 초동대처가 아쉽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피해 학생은 학교 밖도 아닌 교내 돌봄교실에서 불과 20m 떨어진 같은 층 시청각실 자재창고에서 가족에 의해 발견됐는데, 교직원과 경찰까지 동원해 수색에 나섰음에도 발견이 늦었다는 점에서다.

11일 중도일보 취재를 종합한 결과, 사건 당일인 10일 오후 4시 30분 경 미술학원 학원 차량 기사가 피해 학생인 김하늘 양이 학교에서 나오지 않자 돌봄교실에 2차례 연락 후 가정으로도 연락을 취했다. 해당 학교 교사들이 학생을 찾으러 다니기 시작했고, 곧이어 5시 15분께 김 양의 어머니가 112에 자녀 실종신고를 했다. 신고 접수 후 경찰에서 18분경에 코드원 긴급 지령을 내린 후 4분 뒤인 23분께 관할 지구대 경찰들이 1차로 출동했다. 곧이어 2차로 또 다른 경찰들도 도착해 경찰, 교직원, 가족들이 모여 수색을 진행했다.

당시 경찰은 실종신고 접수 후 학교에 도착해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한 학내 지하주차장과 아이들 소리가 나는 학교 인근 놀이터부터 수색하기 시작했다. 학교에 도착하기 전인 17분부터 기지국, 와이파이, GPS, 복합측위 등 4가지 위치 값을 반영해 16차례 위치 추적·조회를 통해 실종자 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조회된 위치 값에는 학교가 아닌 인근 아파트와 병설 유치원도 있어 확인하기 위해 이동하기도 했다.

학교와 경찰까지 나섰지만, 실종된 김 양을 발견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김 양의 가족인 할머니였다. 돌봄교실과 같은 2층 시청각실 내부를 수상하게 여긴 김 양의 할머니가 들어가 보니 시청각실 내부에 자재창고가 있고 김 양의 가방과 함께 그 안에 사람이 있는 걸 본 것이다. 즉시 김 양의 아버지에게 연락했고 경찰이 자재창고 문을 강제 개방해 들어가 창고 안에 쓰러져 있던 김 양과 가해 교사를 발견한 것이다. 이때 소방에 접수된 구급 신고 시각은 오후 5시 50분 경이다.



이날 밤 피해 학생의 유족은 취재진에게 "아이가 피살된 곳은 돌봄교실에서 불과 20m 떨어진 시청각실이었는데, 경찰과 교직원은 1시간 동안 아무도 시청각실을 수색하지 않았다"라며 "경찰은 학교 인근의 아파트에서 위치가 찍힌다고 했지만, 제가 갖고 있는 핸드폰 위치 추적 앱에서 위치는 무조건 학교 였다"고 설명했다.

당시 학교 관계자들은 경찰이 도착했을 때 "학교 위층부터 내려오면서 확인했는데, 아이가 없다"고 설명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평소 시청각실은 요일별로 개방하고, 열쇠는 교무실에서 보관하는 데 이날 가해 교사는 열쇠를 이용해 시청각실에 들어갔던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범행은 시청각실 안의 자재 창고에서 이뤄졌고, 자재 창고는 시청각실 출입문 우측에 있는데, 문 쪽에서 잘 보이지 않고 창고 내부가 어두웠다"며 "2층을 수색하지 않은 것이 아니고 수색하는 과정에서 아이를 발견했다고 이해해주셨으면 한다. 좀 더 빨리 발견했다면 좋았을 것이지만, 당시 기술·현실적인 상황에서 최선을 다했다고 말씀드릴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아파트 재건축 현장서 쓰레기 4만톤 나와…처리비용만 100억원대 추정
  2. 대전서 강풍 피해 잇따라…용산동 상가 공사 현장 크레인 전도
  3. 2027년 폐교 앞둔 대전 성천초… 교육청 추진계획 '주목'
  4. [중도초대석]김윤성 이사장 "한 명의 범죄피해자, 지역사회 전체가 보듬어야"
  5. [썰] 4·2 대전시의원 보궐,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 기싸움?
  1. '프로야구 개막'... 대전신축 구장 활용 방안 만들자
  2. 대전지역 의대생 복귀시한 임박… 의대교육 정상화 '운명의 주'
  3. 대전여성단체 "강제추행 송활섭 대전시의원 징계 절차 재개해야"
  4. [알림] 중도일보, Daum 뉴스 '지역 카테고리' 신규입점
  5. 멀어지는 '벚꽃 추경'… 충청권 현안 사업 어쩌나

헤드라인 뉴스


경기불황에 멈춘 역세권 개발... 대전시 `활력 제고` 총력

경기불황에 멈춘 역세권 개발... 대전시 '활력 제고' 총력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경기 불황으로 대전 역세권 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하면서 대전시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도심 균형발전과 도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한 개발 사업으로 대전시는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 역량을 집중해 연내 가시적 성과를 낸다는 계획이다. 25일 대전시와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전역세권은 2006년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이후 2020년 혁신도시, 2021년 도시재생사업, 2024년 도심융합특구 지정 등 개발을 위한 준비를 마쳤음에도 최근 고금리·고환율, 건설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부동산경기 침체까지 겹..

대전서 강풍 피해 잇따라…용산동 상가 공사 현장 크레인 전도
대전서 강풍 피해 잇따라…용산동 상가 공사 현장 크레인 전도

25일 돌풍에 공사 현장 크레인이 쓰러지는 등 대전에서 강풍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다. 이날 대전소방본부에 따르면, 오후 3시 7분께 대전 용산동의 한 아파트 인근 상가 공사 중 크레인이 도롯가로 전도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크레인이 쓰러지면서 주변에 있던 공사 작업자인 40대 남성 1명이 놀라 넘어져 머리 부위 출혈로 병원으로 이송됐다. 다행히 떨어진 크레인에 맞거나, 충돌해 피해를 본 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강풍에 의해 전도된 것으로 보고 곧바로 안전조치에 나섰다. 이를 포함해 오후 3시 30분 기준 대전에 30건..

`제2의 황인범을 꿈꾸다!` 대전하나 U-18소속 국대 박서준-김도연-박병찬
'제2의 황인범을 꿈꾸다!' 대전하나 U-18소속 국대 박서준-김도연-박병찬

대한축구협회가 내달 개막하는 2025 AFC U-17 아시안컵에 참가할 남자 17세 이하(U-17)대표팀을 19일 발표했다. 이번 대표팀에 선발된 선수들은 26명으로 대부분 K리그 산하 유소년 클럽 고교생 선수들로 구성됐으며 이들 중 3명(박서준, 김도연, 박찬준)이 대전하나시티즌 U-18세 이하 유스팀 충남기계공고 선수들이다. 전국에서 내로라하는 유스 22개 팀 중 3명의 선수가 대표팀에 이름을 올린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축구 인프라가 풍부한 수도권이 아닌 지방 유스팀에서 대표팀에 3명의 이름을 올린 팀은 대전과 울산이 유..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강풍에 쓰러진 크레인…시민 한 명 부상 강풍에 쓰러진 크레인…시민 한 명 부상

  • 천안함 46용사 묘역 찾은 한동훈 전 대표 천안함 46용사 묘역 찾은 한동훈 전 대표

  • 미세먼지에 갇힌 답답한 도심 미세먼지에 갇힌 답답한 도심

  • 농사철 앞두고 농기계 수리 농사철 앞두고 농기계 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