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숙 공공연구노조 IBS 지부장이 4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과학기술 정책 제안과 함께 IBS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대통령 유튜브 캡처 |
이날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타운홀미팅 형식으로 진행된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에는 350명가량의 시민이 참석했으며 이중 과학기술인도 다수 자리했다.
소상공인·자영업자 악성 채무 해소 주제에 이어 진행된 과학기술 정책 발전 방향 토론에선 새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방향에 대한 기대와 제안이 이어졌다.
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의생명수학연구단장)는 기초과학 분야 연구 예산이 예측 가능하게 운용돼야 하고 해외 우수 인재를 유치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블라인드 채용 제도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 교수는 "R&D 예산 삭감을 겪으며 학생들과 포닥(박사후연구원)들의 연봉이 삭감되고 잘리는 일도 있었다. 연구라는 특성상 한 번 무너지면 되살리는 데는 굉장히 오래 시간이 걸린다"며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는 매년 일정 비율 예산이 무조건 증액되는 제도가 있다. 우리나라도 적어도 기초과학 분야만큼은 예측이 가능한 예산 운용이 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생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블라인드 채용과 관련해 "우수한 인재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공정성도 중요하지만 일정 범위 내에서 수시로 채용할 수 있는 제도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박수경 교수가 과학기술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
박 교수는 "부처 차원의 최적화는 거의 할 만큼 했다고 생각한다. 부처 간 자원이 잘 연계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컨트롤타워를 기획해 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지역거점대학으로 가면 학생 인력을 점점 줄고 연구비도 많이 없어지는데, 계속 연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연구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잘 돼 있어야 한다"며 "학생 10명이 할 수 있는 연구 성과물을 학생 5명이라도 연구와 분석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학교에 있던지, 지역별로 있게 되면 연구 인력들이 좀 더 많은 생산성을 낼 수 있게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발언권을 얻은 최숙 전국공공연구노조 IBS 지부장은 국내 우수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연구비의 안정성이 중요하다며 정권에 상관 없이 GDP 대비 일정 비율을 R&D에 투자할 것을 제안했다.
최 지부장은 "장기적으로 10%를 말씀드린다. 플레이어가 많아져야 새로운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일론머스크 같은 사람도, 스티브 잡스 같은 사람도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정권에 흔들리지 않는 컨트롤타워 신설, 연구 몰입 환경과 시스템 마련, 안정적이고 유연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연구기관 비정규직 해소 등을 13분가량 발언했다. 또 IBS 내부 문제로, 행정 조직 위주의 조직 운영과 비정규직 고용으로 인한 예산 낭비, 중이온가속기 성과 미흡 등에 대해 이야기했다.
이 대통령은 최 지부장이 현재 처한 상황에 큰 관심을 보이며 파악을 별도 지시했다. 2013년 7월 입사한 최 지부장은 우수연구원상을 받을 정도로 분야에서 성과를 냈지만 노조 설립 후 기관 내부 비리에 대해 문제 제기하며 해고됐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나중에 해고 문제는 따로 한 번 체크해 달라", "따로 한번 챙겨 보겠다"고 거듭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동학농민운동 당시 우금치 전투에서 첨단 무기를 사용한 일본군과 관군의 부상자가 없었던 반면 동학농민혁명군은 전멸한 사례를 언급하며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앞으로도 비슷할 거라고 생각하나. 과학기술 분야에 관심 갖고 투자하느냐 안 하느냐에 따라 나라 운명이 갈린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은 "실제 전문가들이 업에 계신 분들이 주도해서 이 개선 작업을 주도하는 형태로 진행하게 될 것 같고 멀지 않은 미래에 그 결과를 발표해서 개선된 대책안을 공유 드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