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선 과정에서 이를 공약한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수립하지 못한 단계"라 했다. 차질을 빚지 않으려면 국정과제 채택은 기본이고 균형발전 효과 극대화를 위해 입체적·종합적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대로 내년 총선 이후로나 미뤄지면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 수도권 표심을 잡기 위한 정치적 셈법이 다시 작동해서는 안 된다. 공공기관 이전처럼 이해관계가 극렬히 갈리는 사안일수록 밀고 나갈 정책 의지는 중요하다.
지역 성장거점의 한 축이 '혁신도시 시즌2'다. 이전 기관이 지역발전을 선도할 장치도 마련해야 한다. 스마트 혁신도시 조성, 산업 클러스터 활성화, 주변지역 상생발전 등 거시적인 대안이 요청된다. 2012년부터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이 시작돼 7년 만에 153개 기관을 옮긴 전례를 다시 참조해야 한다. 1차 이전 후 서울 집중이 더 커지며 효과에 한계를 가져왔던 부분은 꼭 보완해야 할 것이다. 공공기관 절반 가까이가 여전히 서울 등 수도권에 위치한다.
정책 효과를 높이는 또다른 핵심은 기업 이전이다. 공공기관이 설립한 279개 기업이 이전하도록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을 개정하는 것 역시 좋은 방법이다. 2005년 계획 수립 당시 세종시 건설 등을 이유로 배제된 대전과 충남은 더 각별하게 배려해야 한다. 정권 초기인 지금, 첫 단계인 지방 이전 계획부터 즉각 수립해야 할 것이다. 국정과제로서 강력한 추진력과 결합하지 않으면 '은근슬쩍' 지키지 않는 약속이 되기 쉽다. 새 정부에선 그런 '부작위'를 되풀이하지 않기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