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태흠 지사는 9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김동일 보령시장(충남시장·군수협의회장)을 비롯한 14개 시군 단체장, 강일구 호서대 총장(충남라이즈위원회 공동위원장) 등 도내 라이즈 선정 22개 대학 총장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충남 라이즈는 '새로운 도약을 위한 담대한 개혁과 혁신으로 힘쎈충남 구현'을 비전으로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 ▲지역 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지역 고등교육 체제 전환 강화 ▲성장과 나눔의 지역 공동체 구현 등 4대 프로젝트 17개 단위 과제 134개 세부 사업을 추진한다.
올 한 해에만 투입될 사업비는 1403억 원에 달한다.
시군-대학 간 지역 현안 과제는 ▲천안시-단국대 등 스마트도시 기반 구축 ▲당진시-신성대 미래 모빌리티 ▲부여군·예산군-공주대 스마트팜 교육 ▲서천군-건양대 블루바이오 ▲청양 선문대 청년 농식품 가공밸리 조성 등이다.
충남형 계약학과로는 ▲백석대 스마트융합공학과 ▲한국기술교육대 반도체·디스플레이과 ▲공주대 스마트모빌리티학과 ▲선문대 인공지능(AI)모빌리티융합과 ▲한서대 첨단항공학과 ▲충남도립대 환경에너지학과 ▲혜전대 케이(K)-푸드조리과 등 16개 대학 44개 학과를 선정했다.
이날 협약을 체결한 도와 시군은 지역경제 및 산업 발전과 연계한 맞춤형 교육 체계 구축 및 운영 지원,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과 취·창업 추진을 위한 지원, 지·산·학·연 협력 체계 구축 및 공동과제 발굴·추진 등에 상호 지원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도와 충남라이즈센터는 앞으로 각 대학 사업 추진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연차·중간·종합 평가를 통해 대학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아갈 계획이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라이즈센터 개소, 5개년 계획 수립, 사업 수행 대학 공모·선정 등 2년 간의 준비를 거쳐 이제 라이즈 사업을 본격 시작한다"며 "충남 라이즈 사업은 지역인재 유출과 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충남은 대한민국 수출 2위로 반도체·디스플레이는 물론, 미래 모빌리티, 방위산업, 스마트팜을 필두로 한 바이오산업에도 강점을 갖고 있다"며 "이 같은 상황에 맞춰 각 대학들은 기업과 연계해 계약학과 확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등에 힘 써 줄 것"을 당부했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