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시, 자원회수시설 '착화식' 개최… 환경·관광 융합한 친환경 도시로 도약

  • 전국
  • 서산시

서산시, 자원회수시설 '착화식' 개최… 환경·관광 융합한 친환경 도시로 도약

7월 13일, 서산 양대동에서 역사적 첫 점화, 11월 본격 가동 앞두고 시운전 돌입
전망대·찜질방·슬라이드 설치, 시민을 위한 '친환경 랜드마크', 13년 만에 결실

  • 승인 2025-07-14 08:14
  • 임붕순 기자임붕순 기자
clip20250714080127
서산시 자원회수시설에서 진행된 광역 소각시설 착화식 사진
1
서산시 자원회수시설에서 진행된 광역 소각시설 착화식 사진


서산시가 13일 오후 양대동 자원회수시설 운영센터에서 '착화식'을 개최하며, 친환경 체험관광형 자원회수시설의 본격적인 운영을 알렸다.

이번 착화식은 단순한 소각시설 가동을 넘어, 서산시가 13년간 준비해온 지속가능한 환경 기반 도시로의 전환을 상징하는 의미 깊은 자리였다.

이날 행사에는 이완섭 서산시장, 조동식 서산시의회 의장, 시의원 및 지역 주민 등 5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해 시설 내부에서 점화 버튼을 함께 누르며 첫 점화를 기념했다.



이어 자원회수시설 외부 앞마당에서는 참석자들이 '서산의 친환경 미래'를 다짐하는 기념 퍼포먼스도 펼쳤다.

이번 자원회수시설은 2012년 첫 논의가 시작된 이후 입지 선정, 주민 수용성, 시설 설계에 대한 오랜 논의와 갈등을 겪었다. 2022년 11월 17일 착공 이후 1,056억 원을 투입해 건설 중이며, 현재 공정률은 90%를 넘어섰다.

시는 10월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이날 착화를 시작으로 3개월간 시운전을 거쳐 11월 본격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오늘의 불꽃은 단순한 소각장이 아닌, 에너지 회수·환경 체험·주민 편익이 공존하는 복합문화공간의 시작"이라며, "18만 시민이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자원회수시설은 단순한 생활폐기물 소각장이 아니다. 94m 높이의 전망대를 포함해 찜질방, 어드벤처 슬라이드, 환경체험관, 사우나 등 시민 편익시설과 관광 콘텐츠를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다.

또한, 하루 200톤 규모의 생활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스토커 방식의 광역 소각시설을 중심으로, 폐열은 찜질방과 지역난방 등에 재활용되고, 남은 열은 한국전력공사를 통한 전력 판매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서산시는 연간 약 70억 원의 예산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서산시는 이번 시설을 중심으로 '환경과 관광', '체험과 교육', '폐기물 처리와 에너지 회수'가 통합된 지속가능한 도시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이날 착화식을 시작으로 서산시는 친환경 행정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됐다.
서산=임붕순 기자 ibs99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SMR 특별법' 공방 지속… 원자력계 "탄소중립 열쇠" vs 환경단체 "에너지 전환 부정"
  2. [오늘과내일] 더 좋은 삶이란?
  3.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4.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5. 李정부 첫 조각 마무리…충청 고작 2명 홀대 심각
  1. 더불어민주당 전대주자들, '충청당심' 공략 박차
  2. [월요논단] 지역주택조합의 분담금 반환과 신의성실의 원칙
  3. 대전문화재단,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사회공헌활동 펼쳐
  4. 대전미술대전 무산 위기 넘기고 올 가을 정상 개최 가시화
  5. 복지.SOC.민생 방점… 대전시, 추경 8431억 증액

헤드라인 뉴스


가까스로 살린 대전미술대전…문화행정은 이제부터 숙제

가까스로 살린 대전미술대전…문화행정은 이제부터 숙제

36년 전통 지역작가 등용문인 대전광역시미술대전이 가까스로 정상화가 가시화됐지만, 이 과정에서 지역 문화행정이 풀어야 할 난맥상도 함께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행정당국의 집행 관리 부실과 시의회의 검증 미비 등으로 한때 무산위기까지 몰린 것인데 지역 예술계에선 이같은 구조적 허점에 대한 대대적 손질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13일 취재에 따르면, 제37회 대전광역시미술대전(이하 대전미술대전)은 대전시립미술관 대관 과정에서 미술관 운영위원회 정족수 미달, 협회 관계인 포함 등 절차상 문제가 한 차례 불거졌다. 시의회 행정사무감..

이진숙 무사 통과할까… 李 정부 초대 장관 14일부터 인사청문
이진숙 무사 통과할까… 李 정부 초대 장관 14일부터 인사청문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과 차관급 후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대전 출신인 이진숙(60년생) 교육부 장관 후보와 충남 홍성 출신인 임광현(69년생) 국세청장 후보, 오영준(69년생) 헌법재판관 후보가 험로를 넘어설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러 의혹이 제기된 후보들에 대해 “결정적 문제는 없다”며 엄호 태세를 갖추고 있지만, 국민의힘은 공세 수위를 한층 끌어 올리면서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국회는 14일부터 18일까지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 16명과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 오영준 헌법재판관 후보 등 18명의 인사청문회를 연다. 첫..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여름 무더위가 평소보다 일찍 찾아오면서 수박이 한 통에 3만원을 넘어서는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 수박 평균 소매 가격은 11일 기준 3만 2700원으로, 한 달 전(2만 1877원)보다 49.4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2만 1336원보다 53.26% 오른 수준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2만 1021원보다는 55.56% 인상됐다. 대전 수박 소매 가격은 2일까지만 하더라도 2만 4000원대였으나 4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