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은 오는 9월 15일부터 20일까지 카자흐스탄(알마티)과 우즈베키스탄(타슈켄트)에 '2025 중앙아시아 무역사절단'을 파견해 지역 중소기업들의 새로운 수출 활로를 모색할 계획이다.
이번 무역사절단은 중앙아시아 시장의 특성을 고려해 산업재와 소비재를 모두 아우르는 종합품목 중심으로 구성된다. 참가 기업들은 현지에서 수출상담회, 바이어 매칭, 개별 방문상담, 세미나 등 실질적인 성과를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시는 참가 기업들에게 왕복 항공료 50%를 포함한 상담회 운영 제반 비용을 지원하며, 8개 사 기준 총 72건 이상의 수출 상담, 1사당 450만 달러 규모의 계약 추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 무역사절단의 성과보다 약 18% 상향된 목표치다.
중앙아시아 시장은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다. '2025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국민의 84.1%가 최근 4년간 한국산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즈베키스탄은 한국의 중앙아시아 최대 수출입 파트너국으로, 현지 바이어들과의 유대 강화를 통해 협력 확대가 기대되는 지역이다. 이러한 시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부산 중소기업의 중앙아시아 진출은 긍정적인 성과를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중앙아시아 무역사절단 파견은 지난 7월 7일 개최된 '수출위기 대응 점검회의'에서 제기된 '신시장 개척 지원 확대' 건의를 반영한 후속 조치다.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 속에서 부산시는 대미 수출 의존도를 줄이고 지역 수출 기업의 위험을 분산하기 위해 전략시장 중심의 시장 다변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번 무역사절단은 지역 기업의 수출 기반을 다변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새로운 해외 수요처 확보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봉철 시 디지털경제실장은 "급변하는 전 세계 통상 환경에서 부산 수출 기업이 더 다양한 글로벌 고객을 만날 수 있도록 시가 교두보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실효성 있는 해외시장 개척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산 중소기업들은 오는 21일까지 시 해외마케팅 통합시스템을 통해 참가 신청할 수 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