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용노동부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동향'. |
14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고용서비스 통합 플랫폼 '고용24'를 통한 6월 신규 구인 인원은 15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2%(1만9000명) 감소했다. 신규 구인은 2023년 3월부터 2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면, 신규 구직 인원은 지난달 38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9%(4만1000명) 많았다. 이에 따라 구인 인원을 구직 인원으로 나눈 구인배수는 지난달 기준 0.39로 나타났다. 이는 구직자 1명당 일자리가 0.39개라는 의미로, 지난해 동월보다 0.1개 줄었다.
일자리를 찾는 사람은 늘어나는데, 일자리는 줄어드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 |
/고용노동부 '6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동향'. |
구체적으로 이 기간 제조업에서는 자동차(3만9000명), 기타 운송장비(3만7000명)가 고용을 지탱했지만, 1차 금속(-600명), 금속가공(-3400명), 기계장비(-1700명) 등 대부분 업종에서 감소세가 이어졌다.
건설업은 같은 기간 1만9400명(종합건설업 -1만8600명, 전문직별공사업 -800명)이 감소하며, 23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전체 증가세를 이끈 서비스업에서는 보건복지(11만9000명), 사업서비스(2만2000명), 전문과학(2만1000명) 등 대부분 업종에서 고용이 늘었다. 특히 이중 보건복지업이 228만5000명으로 5.5% 증가하며, 서비스업 고용 증가분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와 함께 교육서비스업도 1만700명(1.9%) 증가했다.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하반기 민간소비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고 추경이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의 수요를 진작하면서 서비스업은 하반기 (고용 상황이)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제조업은 상반기 성장률과 수출이 마이너스였던 데다가 하반기는 더 안 좋을 것으로 전망돼 고용 상황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천 과장은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많이 해소되는 단계"라면서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잡코리아 구인 건수가 지난달 2∼3주차에 들어서며 조금씩 회복되는 양상으로 7월 이후부터는 상황이 나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4%(2000명) 늘었다. 구직급여 지급자는 65만4000명으로 5.0%(3만1000명), 지급액은 1조 516억원으로 10.9%(1036억원) 증가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