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승연 부산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이 의원은 지역 맞춤형·데이터 기반의 폭염 대응체계 구축과 함께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공간 구조의 장기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폭염은 기후 요인 중 인명 피해가 가장 큰 재난으로 규정되어 있다. 실제로 지구 평균기온은 이미 1.09℃ 상승했으며, 임계점인 1.5℃ 도달 시점은 2040년 이전으로 앞당겨질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나라 역시 여름철 평균기온과 폭염 일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이승연 의원은 "폭염은 단순한 기온 상승이 아닌, 인구 밀집·녹지 부족·열섬 현상 등 도시 구조와 맞물려 더욱 심각해지는 복합 재난"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산시는 여전히 그늘막, 무더위쉼터, 생수·선풍기 배포와 같은 일회성, 물리적 대응에 머물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최근 3년간 부산시의 폭염 예산은 2023년 약 18억 8000만 원에서 2025년 8억 8000만 원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으며, 사업 내용 또한 쿨링포그, 그늘막 등 시설물 설치 위주로 편중되어 있어 실효성과 시민 체감도가 매우 저조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승연 의원은 이처럼 미흡한 폭염 대응의 원인으로 "폭염을 전담할 행정 조직과 인력의 부재"를 지목했다. 현재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폭염 대응 업무가 다른 재난과 겸임되고 있으며, 중앙정부 지침을 그대로 반복하는 하향식 대응 방식으로 인해 지역 특성과 실정이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이 의원은 △지역 맞춤형 폭염 취약성 지도를 구축해 폭염 예산과 대응 시설을 보다 체계적으로 배분하고 △폭염·한파·홍수 등 복합 기후 재난에 대응할 전담 부서 설치 및 상시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하얀 지붕, 쿨 포장 등 도시 열섬 완화 인프라 도입을 통해, 도시공간 구조의 장기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승연 의원은 "폭염은 해마다 반복되는 자연현상이 아니라 도시 구조와 안전 수준을 시험하는 기후 재난"이라며, "이제는 더위에 견디는 도시가 아니라, 과학과 데이터로 대응하는 도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