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계연이 주관기관으로 참여 중인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은 22일 오후 기계연 대전 본원에서 K-AI휴머노이드 비전 전략포럼을 개최하고 연구개발 추진 전략과 협력방안을 공유했다.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은 산업현장과 일상에서 인간과 함께할 휴머노이드 동반자 실현을 목표로 국내 산학연이 연구 역량을 결집했다. 기계연을 비롯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한국생산기술연구원 등 출연연구기관과 KAIST·DGIST·GIST·서울대 등 9개 대학, 미국과 독일의 5개 연구소·대학이 함께한다. 산업계에선 에이로봇, 라이온로보틱스, LG전자가 참여해 실용화 설계를 맡고 표준화와 성능평가 체계 수립을 위해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이 참여한다.
연구단은 인간 수중 이상의 신체 능력과 범용의 작업 지능을 갖춘 K-AI휴머노이드 개발을 목표로 한다. 운동성과 작업성이 동시에 구현된 휴머노이드 플랫폼을 개발하고 대뇌와 소뇌로 구성된 고수준의 사고와 실시간의 운동능력 구현이 가능한 AI기술을 개발, 탑재할 계획이다.
박찬훈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장(기계연 AI로봇연구소장)은 "AI휴머노이드 로봇은 선진국이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제조업 분야의 게임체인저"라며 "향후 자동차와 휴대폰 시장의 규모를 넘어 1가구 1로봇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총괄 주관이자 1세부 주관기관인 기계연은 휴머노이드 전용 구동기 개발을 통해 인간 수준의 동작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피부형 감각기술, 전신 감각기술을 구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운동성과 작업성이 동시에 구현된 휴머노이드 플랫폼 기술을 확보에 나선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정교한 손동작이 가능한 인핸드매니퓰레이션 기술 개발을 맡는다.
2세부 주관기관인 ETRI는 인간과 로봇의 공존사회 실현을 목표로 언어기반 조작, 인간-로봇 상호작용과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임무수행을 위한 절차생성 등 '자율성장 AI휴머노이드 브레인'을 위한 로봇 AI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로봇이 데이터를 모으고 지능이 성장하는 과정을 자동화해 스스로 성장하는 자율성장능력을 키워나간다.
![]() |
22일 열린 K-AI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서 발표하는 박찬훈 단장. 기계연 제공 |
박찬훈 단장은 "기계연은 주관기관으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휴머노이드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검증까지 완료해 기업 주도로 세계와 경쟁할 수 있는 K-AI휴머노이드 기술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 |
K-AI휴머노이드 비전 전략 포럼 참석자들 기념촬영 모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