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 초부터 경기 하방 위험을 경고해 온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한국 경제에 대해 긍정적인 진단을 내렸다. 내수 부진 해결책으로 정부가 지난달 발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경기를 부양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KDI 8월 경제동향 발췌 |
KDI는 7일 '8월 경제동향'을 발표하고 "최근 우리 경제는 건설업 부진에 주로 기인해 낮은 생산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지만, 소비 여건은 부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건설투자가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하고 설비투자 증가세도 조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6월 건설기성은 지난해 동기 대비 12.3% 감소하며 부진을 이어갔고, 같은 기간 설비투자는 2.1%로 전월(6.7%) 대비 증가 폭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비 여건은 시장금리의 지속적인 하락과 정부의 소비부양책 등에 의해 개선됐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는 0% 안팎의 낮은 증가율에 머물렀지만, 7월 소비자심리지수(110.8)는 전월(108.7)에 이어 기준치인 100을 크게 웃돌았다.
KDI는 "가계 대출금리는 하락세를 지속하는 등 소비 여건은 점차 개선되는 모습"이라며 "7월에 지급되기 시작한 민생회복 소비쿠폰도 소비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7월 수출은 지난해 대비 5.9% 증가하며 두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31.6% 급증하며 전체 수출을 견인했다.
수출 호조에는 다소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반도체 수출의 급격한 증가가 관세 인상 우려에 따른 제3국의 '선제적 수출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EU·일본 등 주요국들이 최근 미국과의 관세협상을 타결하면서 통상 불확실성이 완화됐지만,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하방 압력은 유지될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미국은 자동차를 비롯한 주요 수출품목에 15%의 상호관세를 확정했으며, 철강과 알루미늄 등에 대해선 50%의 품목별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KDI는 "수출은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향후 반도체를 중심으로 선제적 수출 효과가 축소되고 관세 인상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둔화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처럼 소비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지역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지역 경제단체 한 관계자는 "소비쿠폰 영향인 지 최근 음식점과 상권에서 활기를 띠면서 자영업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소비 회복이 지역기업들의 판매 실적 개선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