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천에서 발생한 화장품 원료 공장 화재. |
당시 사고로 해당 공장은 물론 강한 폭발과 화염으로 인근 기업까지 피해를 입어 현재까지 확인된 기업만 34곳에 이르며 피해액은 1019억원으로 집계됐다. 일부 기업은 생산 중단과 납품 지연 등으로 존폐 위기에 처해 있다.
이에 시는 피해기업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중소기업 운전자금 이차보전 우대지원, 공공폐수처리시설 원인자부담금 감면, 소규모 복구비 지원, 지방세 징수·세무조사 유예 등 '4대 긴급 지원 패키지'를 발표했다.
운전자금 이차보전은 우대 기간을 기존 1년에서 3년으로 늘리고, 융자 한도를 최대 6억원, 이차보전은 연 5%까지 지원한다. 중소벤처진흥공단, 경북도 긴급경영안정자금 중복 지원도 허용해 자금난 해소 속도를 높인다.
또 피해기업의 2개월간 공공폐수처리시설 원인자부담금을 50% 감면하고 소규모 피해기업에는 최대 100만원의 복구비를 긴급 지원한다. 지방세 부담 완화를 위해 지방세 징수와 세무조사 유예도 신청 받는다.
시는 본관 3층 기업유치과에 전담 창구를 설치해 피해 현황을 파악 중이며 중소벤처기업부, 경북도와 협력해 '재해 중소기업확인증' 신속 발급을 지원하고 있다.
정부 지원 확대를 위해서는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지정을 건의한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복구비 상당 부분을 국도비로 지원 받는다. 지난달 청도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서 복구비의 89%를 국도비로 충당했다.
시 관계자는 "사고는 단순한 화재를 넘어 영천 산업경제 전반을 뒤흔든 재난"이라며 "피해기업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행정·재정 자원을 총동원해 지역경제를 지켜내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일 낮 12시 42분경 영천시 금호읍 구암리 채신공단에 있는 대달산업(화학물질인 화장품 원료 제조공장 2층 추정)에서 폭발과 함께 불이 나 1명이 숨지고 4명이 부상을 입었다. 사망자는 미쳐 빠져 나오지 못했고 부상자는 대피과정에서 발생했다. 6개 공장동과 사무동, 창고동 등 9개 동 모두 전소했고, 탱크는 반소했다. 소방당국은 방화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조사 중이다.
영천=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