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시철도 무임수송 손실에 대한 국비보전 필요성을 알리는 대시민 캠페인./부산교통공사 제공 |
이번 캠페인은 무임수송이 정부정책에 따라 시행되는 복지제도라는 점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교통약자를 위한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날 캠페인은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다른 도시철도 운영기관도 동시에 진행됐다.
앞서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사 대표자들은 공동건의문을 국회와 정부 관계부처에 전달했다. 또 무임수송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공사는 지난해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무임손실 규모가 7228억 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는 당기순손실의 58% 수준에 달해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라고 설명했다.
공사는 이날 현장 캠페인 외에도 역사 내 디지털 광고판, 공익광고 게시판, 공식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시민들의 지지를 확보하는 홍보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도 무임손실에 대한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적극적인 홍보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은 "무임손실 문제는 개별 운영기관이 해결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라며 "전국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국비보전을 위한 관련 법 개정이 이뤄질 때까지 대시민 홍보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