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환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
필자는 2017년부터 종양 면역치료제 '키트루다'를 대체할 수 있는 한의 면역관문 차단제 연구를 진행해 왔다. 면역관문 차단제는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는 '면역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약물이다. 즉, 인체 면역계를 다시 활성화하여 스스로 암세포를 제거하게 하는 치료 전략이다. 하지만 기존의 키트루다나 티센트릭과 같은 항체 기반 치료제는 고가며, 부작용도 적지 않다. 필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물 기반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면역관문 차단제를 개발하고자 했다.
1000여 종의 천연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한 결과, 면역관문을 차단해 종양면역 효능을 나타내는 홍삼, 배암차즈기, 월견초(달맞이꽃 뿌리), 지유, 현초, 복분자, 차가버섯, 건칠, 정향피 등의 후보 물질을 발굴했다. 이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주저 없이 '배암차즈기'를 선택하겠다.
배암차즈기의 학명은 Salvia plebeia R. Br.이다. 속명 Salvia는 라틴어 salvare(치료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이 속의 식물들은 대부분 약용 또는 식용으로 쓰인다. 배암차즈기는 울퉁불퉁한 잎의 모양 때문에 '곰보배추'라 불리고 눈 속에서도 자라 '설견초'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는 '여지초'로 기록돼 있으며 복수·각혈·옹종 등에 효능이 있다고 전해진다.
배암차즈기에는 다양한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돼 있으며, 항산화·항염증·천식 억제 및 종양면역 활성 효과가 보고돼 있다. 필자의 연구팀은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종양이 이식된 생쥐에 투여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키트루다와 유사한 종양 억제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대장암의 표준 항암요법인 FOLFOX와 병용 투여한 실험에서도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다.
활성 성분으로는 '호모플라타지닌(homoplantaginin)'이 확인됐다. 이 물질은 면역관문 단백질 PD-1과 PD-L1에 결합해 종양면역 활성을 일으킨다. 흥미롭게도 호모플라타지닌은 인간의 PD-1·PD-L1 단백질에는 나노몰 농도에서도 결합하지만, 생쥐 단백질에는 결합하지 않는 특이성을 보였다. 또한 키트루다가 PD-1을, 티센트릭이 PD-L1을 각각 목표로 하는 항체임을 고려하면, 호모플라타지닌은 두 단백질 모두에 결합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론적으로 키트루다와 티센트릭을 병용 투여하는 것과 유사한 기전을 지니므로, 단독 표적 약물보다 더 우수한 효능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물론 배암차즈기나 호모플라타지닌이 실제 임상에서 항암 효과를 발휘할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배암차즈기는 이미 식품으로 사용하는 안전한 소재이며, 차나 나물 형태로 섭취해 온 역사도 있다. 필자는 주변 암 환자들에게 "홍삼과 배암차즈기를 꾸준히 섭취해 보라"고 권유한다. 쌈, 녹즙 형태로 섭취하면 면역력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적 검증이 더해진다면 배암차즈기는 '음식이 곧 약'이라는 식약동원의 현대적 실천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투유유는 개똥쑥에서 말라리아 치료제를 발견해 노벨상을 받았다. 한 식물이 전 세계 수많은 생명을 구한 것이다. 배암차즈기도 암 치료의 새로운 희망으로 자리하길 기대해 본다. 정환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술응용센터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임효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