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홍석환 대표 |
둘째, 만나는 장소이다. 접근 가능하고 상대의 격을 고려한 곳이어야 한다. 친구와 편한 만남이라면 공원 벤치도 좋지만, 중요 고객과 회의라면 곤란하다. 자신이 편한 장소만 고집한다면 상대가 어떻게 생각하겠는가? 강남에 산다고 일산에 사는 지인을 강남역까지 매번 오라면 어떤 심정일까?
셋째, 상대의 상황 배려이다. 약속은 '함께하는 일'이므로 일방적 강요가 되어서는 곤란하다. 상대의 입장이나 감정을 살피는 배려가 중요하다. 채식하는 상사와의 회식을 고깃집으로 정하면 얼마나 황당하겠는가?
넷째, 꼭 약속을 해야 하는가 결정이다. 굳이 약속을 할 필요가 없는데, 약속을 정해 불편한 적이 있다. 약속을 왜 하는지, 무엇을 위한 것인지 명확해야 한다. 금요일 저녁에 보자는 말 한마디가 수많은 갈등과 고달픔을 낳게 한다.
다섯째, 실행이다. 약속을 정했는데, 상대가 오지 않거나 상황 발생으로 무산되는 경우가 있다. 약속이 없었다면 다른 일을 했을 텐데, 약속 무산으로 모두를 잃은 경우다. 강의가 예정돼 다른 강의 요청을 거절했는데, 강의가 취소되는 경우이다. 약속했으면 지켜야 하고, 지키지 못할 경우는 사전에 연락을 줘야 한다. 기본을 어기는 경우를 경험하면 어떤 기분이며 생각을 하겠는가? 약속을 이야기하면 부끄러운 점이 있다. 자신과의 약속을 가장 많이 지키지 않았다. 그리고 소중한 사람과의 약속이 뒷전이 되는 경우가 있어 반성한다.
/홍석환 대표(홍석환의 HR전략 컨설팅)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정바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