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5 대전 빵축제 현장. (사진= 대전관광공사) |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했다. 2016년 첫 조사 이후 무려 8년 동안 7차례 최하위를 기록하던 도시가 2024년 처음으로 10위권에 진입한 데 이어, 올해 한 단계 더 상승하며 전국 평균을 넘어선 것이다. 특히 물가·상도의 항목에서 전국 1위를 차지하며 '가심비(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도) 최고 여행지'로 평가받았다. 합리적인 가격, 깨끗한 환경, 친절한 시민의식이 만들어낸 변화가 수치로 입증된 셈이다.
컨슈머인사이트의 세부 조사 항목을 보면, 대전은 여행자원 매력도 부문(쉴거리·볼거리·먹거리·놀거리·살거리)과 여행환경 쾌적도 부문(청결·위생, 편의시설, 물가·상도의, 안전·치안, 교통환경) 모두에서 고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교통과 안전 분야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여행 접근성과 이동 편의성 면에서 큰 강점을 보였다. 이는 시가 꾸준히 추진해온 도시환경 정비, 대중교통 노선 개선, 관광안내체계 고도화 등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평가된다.
대전의 강점은 여행 만족도뿐만 아니라 관광 트렌드 변화에서도 확인된다. 같은 조사에서 대전은 '국내 여행지 점유율 증가율' 부문 1위를 기록했다. 2023년 대비 2025년 국내 여행지 점유율이 1.0%p 증가하며, 서울·경기(0.6%), 부산(0.3%)을 앞섰다. 제주(-2.0%)나 강원(-1.4%) 등 기존 인기 지역이 감소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이다. 이는 대전이 단순 경유 도시를 넘어 실제 여행지로 선택받고 있다는 의미다.
여행의 즐거움이 머무는 공간에서도 대전은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였다. 숙박 예약 플랫폼 '놀 유니버스'가 발표한 2025년 5월 황금연휴 숙소 예약 통계에 따르면, 대전은 전년 동기 대비 예약 건수가 190% 증가하며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전국 평균 상승률이 130% 수준임을 감안하면 대전의 약진은 두드러진다. 이는 다양한 숙박시설 확충과 관광객 중심의 서비스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는 방증이다. 또한, 글로벌 여행 플랫폼 '아고다'의 2025년 7월 조사에서도 대전은 '아시아 최고 가성비 여행지' 9위에 선정되며 국내 도시 중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평균 숙박요금과 서비스 품질을 함께 고려한 이 조사에서 대전은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만족도를 인정받았다.
먹거리 부문에서도 대전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컨슈머인사이트의 '2025년 국내 여행지 추천 조사'에서 대전은 디저트류 추천 광역시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응답자의 46.9%가 대전을 국내 대표 디저트 여행지로 꼽았으며, 서울(28.6%)과 제주(27.2%)를 크게 앞섰다. 전국적으로 확산된 대전의 '빵지순례' 열풍이 지역 관광을 이끄는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나라살림연구소가 발표한 '지역축제 참가율 및 관광소비액 증가율'에서도 대전의 변화가 확인된다. 2019년 대비 2023년 기준, 지역 주민의 지역축제 참가율 증가폭이 전국 1위(+27.7%)를 기록했으며, 외부 방문객의 관광소비액 증가율은 전국 2위(+42.8%)로 집계됐다. 또한 1인당 관광소비액 증가율 역시 전국 2위(+31.8%)로 나타났다. 이는 대전의 각종 축제와 문화행사가 단순한 지역 이벤트를 넘어 관광과 소비로 이어지는 실질적 성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관광객 수의 증가는 이러한 변화를 구체적으로 증명한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대전시 주요 관광지 28개소 방문객 수는 1050만 명으로, 2021년 719만 명 대비 46% 증가했다. 주요 관광지에는 장태산자연휴양림, 한밭수목원, 대전오월드, 국립중앙과학관, 대전예술의전당, 대전시립미술관, 계족산황톳길, 식장산전망대, 대동하늘공원 등 시민과 방문객 모두 즐길 수 있는 명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자연·과학·문화·체험형 콘텐츠가 고르게 분포된 점이 대전 관광의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전시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문화와 관광이 공존하는 꿀잼도시 대전'을 시정의 핵심 브랜드로 삼고 있다. 단순히 도시의 이미지를 바꾸는 데 그치지 않고,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는 교통, 숙박, 관광 인프라를 연계한 종합 관광플랫폼을 구축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소비촉진 정책도 병행하고 있다.
대전의 변화는 수치가 증명한다. 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 숙박 예약률, 관광객 수 모두 상승하며 도시의 매력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과거 '노잼도시'라는 말은 이제 대전의 도전과 혁신을 상징하는 유머로 남았다. 합리적인 가격, 쾌적한 환경, 다채로운 문화자원으로 무장한 대전은 이제 전국 어디에도 뒤지지 않는 '꿀잼도시'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지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