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전 제2문화예술복합단지기획디자인 마스터플랜 우수작인 '더시스템랩 건축사사무소'의 출품작. 제공은 대전시 |
대표적인 사업이 바로 제2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이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제2문화예술복합단지는 대전 중구 중촌동 일원 중촌문화공원 내에 들어설 예정이다. 단지의 핵심 시설은 음악전용공연장과 제2시립미술관이다. 음악전용공연장은 2032년, 제2시립미술관은 2033년 개관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음악전용공연장은 연면적 4만 1943㎡ 규모로, 2050석 규모의 콘서트홀과 490석의 챔버홀을 포함한다. 총사업비는 3434억원이며, 클래식 중심의 음향 최적화 설계가 반영될 예정이다.
제2시립미술관은 연면적 2만 5399㎡로, 상설·기획전시실과 교육실, 창작공간이 포함된다. 총사업비는 1820억원으로 대전시립미술관의 전시 수요를 분산하고 현대적 전시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두 시설 모두 대전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 변경 동의 절차를 앞두고 있다. 이후 문화체육관광부 협의와 설계공모, 설계 및 착공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일각에선 제2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을 두고 기존 중촌문화공원에 대한 매몰 비용 발생한다며 예산낭비를 우려하고 있다. 하지만, 대전시는 실질 매몰비용은 약 30억원 정도로 제한적이고, 지역 예술인들이 수십여년 넘게 염원해왔던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신도심에 집중된 문화예술 공간을 원도심까지 확장해 도심 균형발전에 상징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시는 민선 8기 문화시설 확충의 일환으로 대전 출신 원로 예술인들의 업적을 조명하는 특화 전시관을 조성하고 있다. 특화 전시관 가운데 제1호로 추진된 '이종수미술관'은 2023년 고(故) 이종수 도예가 유족과의 작품 기증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본격화됐다.
동구 소제동 소제중앙문화공원에 들어설 이 공간은 이종수 도예가의 유작을 전시하고, 시민들이 도예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복합 문화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의 사전 타당성 조사에서 지역과의 연관성, 정체성 부족 등의 이유로 두 차례 부적격 판정을 받았지만, 대전시 의지는 확고하다. 시는 이종수미술관을 미술관 시설에서 문화체험시설로 변경, 2027년 하반기 개관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명칭도 기존 '이종수미술관'에서 가칭 '이종수도예관(가칭)'으로 변경됐다.
![]() |
| 대전 제2시립도서관인 동대전도서관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
'제2의 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에 대해 이장우 대전시장은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처럼 명품건축물을 조성해 지역을 상징하는 문화예술공간이자 동·서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부족한 예술활동공간과 전시·공연공간을 확충해 시민들에게 돌려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이상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