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태섭) 지하수지역연구부 김용제 박사팀은 ‘지하수 함량 평가기술’, ‘지하수 순환특성 및 체류시간 산정기술’, ‘지하수 유동 모델링 기술’ 등 3개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하수 함양량 평가기술 연구를 통해 건기와 우기강수의 동위원소 조성의 차이를 이용해 지하수가 증발되거나 또는 식물 등에 의해 발산되는 양을 측정하는 ‘안정 동위원소기법’을 이용, 제주도의 지하수 증발산량이 20%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추정에 의존한 기존 평가방법에 의해 산출된 33.7%보다 크게 적은 것으로 제주도 지하수 함양량이 기존에 보고된 45.8%보다 많다는 점을 증명한다.
연구팀은 또 미국 지질조사소, 유타대학과 공동으로 프레온 가스 등을 이용해 제주도 지하수의 연령 측정을 통해 제주도의 지표부근 현무암층에서 채취한 지하수는 20년 내외이고 해안지역 깊이 100m 내외의 지하수는 50년이상 오래됐으며 전체적으로 제주도의 지하수는 깊이에 관계없이 다양한 연령분포를 갖는 것을 증명했다.
김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지하수 관련 기술을 통해 지하수 관련 산업과 환경오염 방지, 폐기물 저장 및 지하시설물 구축 등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