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는 지난달 1일부터 한 달간 7681대의 차량에 대해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2092대(27.2%)가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7월 한 달간 교통안전공단(3곳)과 지정사업자(13곳) 등 모두 16곳의 검사기관이 검사를 벌인 결과 교통안전공단이 3832대(전체 49.9%)를 검사해 854대(22.3%)에 부적합 판정을 내렸으며, 지정사업자가 3849대(50.1%)를 검사해 1238대(32.2%)의 부적합 차량을 골라냈다.
비슷한 검사대수에도 지정사업자와 교통안전공단의 검사결과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은 차량은 교통안전공단을 찾는 반면, 낡고 노후된 차량들이 정비를 겸할 수 있는 지정사업자를 선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 같은 수치는 7월 전국 정밀검사 부적합률인 18.6%를 크게 웃도는 데다, 현재 정밀검사가 정착된 수도권이 2003년 시행초기 보였던 31.7%의 부적합률 에 근접한 수치로 대기환경 개선에 청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높은 검사수수료로 인한 시민들의 불만과 지정사업자 난립 등 새로운 제도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특히 최근 대구와 수도권 등 일부지역에서는 시민들의 가격불만과 지정사업자 난립이 맞물리면서 사업자 간의 가격담합과 검사의 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시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행 초기에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 만큼 강력한 지도`단속으로 검사의 질 향상과 대기환경 개선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