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즘] 1987에 대한 삐딱한 단상

  • 사회/교육

[프리즘] 1987에 대한 삐딱한 단상

송지연 우송대 초빙교수

  • 승인 2018-02-13 10:35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송지연
송지연 우송대 초빙교수
1987 영화를 보고 나오는 길. 그 시절을 그리워하는 어른들, 아직도 자신이 기득권에 저항하는 청년인 줄 아는 그들은 한껏 눈시울이 붉어져 있었지만 - 아이들끼리 온 아이들은 이데올로기가 완전히 소거된 반응을 보였다. 난 고문당하고 다 불어버릴 것 같아, 낄낄.

나는 직선제를 실시한 이후 노태우가 대통령이 된 맥락을 어떻게 그릴지 기대하며 봤다. 이건 좀 못된 악취미다. 그걸 그리는 순간, 1987의 입장이 영 애매해진다는 걸 알면서도 어리석게 기다렸다. 목숨 걸고 이루어낸 직선제의 성취 결과가 김대중과 김영삼이 아니라 전두환 후배 노태우였다는 점을 이 영화는 어떻게 그릴 것인가.

적의 적은 동지이므로 민주화 운동은 북한과의 연관성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1991년 전후 소련 해체의 무드 속에서 분신정국은 직선제 이후에도 대단한 "그날이 오지"는 않았다는 재미없는 현실 - 노태우의 당선을 끝끝내 부정하고 싶어 벌인 죽음의 굿판이 맞다. 정신승리를 위한 광기의 현장에서 죽은 대학생들의 이름을 종교지도자란 사람들이 목청이 터져라 부르짖으며 분신자살을 종용했다. 초반의 죽음은 진실이었을 것이다. 죽음이 몇 번 통하고 정치적 효용이 생긴 후부터 운동은 순수성을 잃었다.

엔딩 숏을 보는 순간, 탄복했다. 그렇구나. 광장 이후나 광장 바깥은 없구나. 내가 기다린 이야기는 당연히 안 나온다. 멍청한 기대를 했던 것이다. 애초 거기까지 가면 웰메이드를 해치게 된다. 1987의 엔딩은 이 영화가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엔딩이다.



평론가들은 1987년의 광장이 2017년의 광장에 재현되지 않았느냐며 그 유사성에 대해 기쁘게 거론하지만, 그 장면이 30년을 건너뛰어 현실에 그대로 재현된 것이 꼭 좋은 일일까. 영화의 엔딩에 대한 평론가들의 똑같은 해석은 현재의 그들이 여전히 1987년에 살고 있거나, 그 상태에 머물러 있고 싶어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 욕망이 저도 모르게 드러나버린 엔딩인 것이다.

1987과 2017 사이 30년은 사라진 시간인가? 영화 제목 1987은 바로 그 엔딩에 와서야 등장하고, 우리 현실은 그냥 거기에 있다. 역사의 수레바퀴 위에 올라타 말잔등의 움직임을 느끼는 (밀란 쿤데라의 <농담>에 등장하는 표현) 환희와 승리감에 도취된 순간에 - 영원히 멈추어 살고 싶은 사람들에게, 광장 이후나 광장 바깥에 대한 고민은 필요없는 것이다. 광장의 감동이 30년 후에 부활했으니 완벽한 멈춤의 인식이다. 적어도 진보가 무슨 뜻인지 안다면, 멈춤과 박제 상태가 결코 역사의 진보는 아님을 인정해야 한다.

민주화세대를 존경하지만 자기 몫의 고통이니 책임값 없이 나이브하게 그 시절을 미화하려는 선배들을 치받아 버리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당신들도 유신세대 치받으면서 역사의 주역이 되었잖아? 진보를 자처해온 586의 가르침을 금과옥조처럼 따르는 것으로 현 2030 젊은세대가 진보할 수 있을까.

동지적 친우가 내게 해준 말을 옮겨 적는 것으로 글을 마무리한다. "1987 광장의 끝이 노태우 대통령 선출이었다는 사실을 블랙코미디 형식의 영화로 만들 수 있을 때가 그들이 진짜 어른이 되는 순간일 겁니다."

사족. 영화는 자본주의의 꽃이다. 영화는 암전된 극장 안에서 모두 똑같은 장면을 보아야만 하는 한시적 파시즘의 예술이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영화는 자본의 예술이다. 팝콘과 콜라로 타는 목마름을 축이며 민주주의를 논하느라 깜빡 잊고 있었다 해도 말이다. 송지연 우송대 초빙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리시장 인근 샌드위치패널 건물 화재… 초진 마쳐
  2.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3. 아산시, "지중해마을에서 가을의 정취 흠뻑 느껴보세요"
  4.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5.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1.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사회안전 지키는 우수 교정공무원 44명 포상…교정의날 80년
  4. [행복한 대전교육 프로젝트]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학교, 대전생활과학고
  5. [춘하추동]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출발점, 기후변화 상황지도

헤드라인 뉴스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한국시리즈(7전 4선승제) 원정 두 경기를 LG 트윈스에 패배한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9일 홈구장인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3차전을 7-3 승리로 장식하며 반격을 시작했다. 한화는 29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LG를 맞아 7-3으로 승리했다. 먼저 앞서나간 건 한화다. 2회 말 채은성과 하주석의 연이은 안타로 1사 1, 2루 기회에서 최재훈은 좌전 안타로 상대 좌익수 포구 실책을 유발하며 선취점을 뽑았다. 그러나, 1·2차전을 모두 승리한 LG의 반격은 날카로웠다...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인 29일 한미 정상이 만나 난항을 겪던 한미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대미 금융투자 3500억 달러(497조700억원) 중 2000억 달러(284조1000억원)는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28조4040억원)으로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29일 오후 경북 경주에 마련된 ‘2025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관세 협상 세부내용을 합의했다"며 협상 내용을 발표했다. 세부 내용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3500억..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