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
정부의 교육 분야 국정기조에 맞춰 특수교육 발전과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확충 필요성에 따른 것이다.
대전교육청은 지난 7일 통합유치원 설립 지원 TF 협의회를 열고, 지역 내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상황, 통합유치원 설립시 우려 여론 등에 대해 의견을 취합했다.
통합유치원은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을 1 대 1로 배치해 모든 일과를 장애아와 비장애아가 함께하는 유치원으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공동담임을 맡는다.
전국에서는 인천이 유일하게 통합유치원 1곳을 운영 중에 있다.
그동안 대전은 공립유치원 98곳 가운데 38곳만 특수학급을 운영한 탓에 지역 장애아동들이 특수학급에 입학하는 것 조차 어려웠다.
이렇다 보니 장애인 등 특수교육법 제 27조에 따른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학생 4명당 특수교사 1명을 배치하도록 한 규정을 지키지 못하고, 대부분이 과밀학급으로 운영돼 왔던 게 사실이다.
지난 2월 산내유치원에서 진행된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학부모 간담회에서도 특수통합유치원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날 한 학부모는 "장애아동들이 적은 비용으로 유치원에서 또래친구들과 함께 치료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장애통합유치원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교육청은 상대적으로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수요조사를 통해 상대적으로 과밀학급이 많은 지역에 '통합유치원'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다.
현재로는 서구지역 설립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하지만 그동안 특수학교 설립 예정지가 발표될 때마다 인근 주민들의 반대여론이 만만치 않았던 점을 고려해 교육청은 조심스럽게 설립 계획 마련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청 관계자는 "장애아동들이 유치원에서부터 전문적인 특수교육을 받기에는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교육현장에서 특수학급 과밀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아이들에게 보편적인 교육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통합유치원 설립을 계획중에 있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