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된 지 52년이나 된 상가 건물의 붕괴 원인은 현재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주상복합건물 공사 현장 인근에 위치한 상가의 붕괴 징후는 적지 않게 관찰돼 왔다는 것이 주민들의 얘기다. 일부 주민이 한 달 전 지반이 침하 된 것을 발견해 용산구청에 민원을 제기했으나 관계자가 다녀간 후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고 한다. 건물 붕괴 조짐이 여러가지 나타났으나 이는 무시됐다. 일선 현장에서 안전 불감증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상가·백화점 등 다중이용시설이나 공동주택은 사고 발생 시 대형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정부 수립 후 최대 참사라는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는 안전을 무시한 대가가 얼마나 참혹한지 증명한다. 이번 용산 상가 붕괴 사고는 휴일이라 식당 등이 영업을 하지 않아 인명 피해가 크지 않았다고 한다. 그나마 다행스럽다.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노후 건물과 공동주택은 전국에 산재해 있다. 대전세종연구원에 따르면 대전만 해도 건축된 지 30년 이상 지난 공동주택이 184개 동에 이른다. 전통시장의 53.7%는 30년 이상 된 노후시설로 안전시설 재정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사고는 예고 없이 찾아온다. 노후 건물과 붕괴 위험 징후가 보이는 건축물에 대한 철저한 안전 점검과 사전 조치만이 대형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