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창업정책을 주도할 컨트롤타워 기능이 약해 창업 인프라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30만명을 넘어서면서 자족 기능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발빠른 정책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세종시 창업 생태계 진단과 구축방안'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세종시 출범당시 1323개이던 창업기업은 1년 후인 2013년에는 1만1175개로 10배 가까이 증가했다.
창업 기업 업종도 일부 업종에 편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창업기업 업종은 도매 및 소매업이 26.7%, 숙박 및 음식점업이 25.7%, 제조업 8.2%, 개인서비스업이 8.1%로 집계된 반면 세종의 경우 도매 및 소매업이 절반에 가까운 41.1%을 차지했다. 이어 숙박및 음식점업 21.8%, 운수업 12.2%, 제조업 6.5%로 나타났으며 제조업은 6.5%, 정보 서비스업 0%,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도 1.6%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더 큰 문제는 창업 준비기간과 창업 교육 경험에 있다.
지난 2015년 현재 전국평균 창업 소요 기간은 10.4개월이 소요된 반면 세종은 7.2개월으로 전국에서 가장 짧은 가운데 창업 기업중 창업교육 경험없이 창업한 업체는 92.3%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은 83.1%다.
세종시의 전 성장단계 기업들이 인력양성과 컨트롤 타워 지원사업에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세종시의 네트워크 지원과 인큐베이팅 및 엑셀러레이팅 지원, 판로개척 지원 사업 등은 부족한 부분으로 지적됐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세종시의 산업 구조는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관련 분야의 창업을 지원할 수 있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발굴하고, 창업 및 벤처 기업에 대한 지원 사업을 확정해야 한다"며 "현재 3명으로 구성된 창업 벤처기업을 지원할 전담 조직과 인원도 확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세종=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