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제주포럼은 '아시아의 평화 재정립(Reengineering Peace for Asia)'을 대주제로 지난 4월 27일 열린 남북정상회담과 6월12일 열린 북미정상회담 이후 실효성 있는 한반도 평화정착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70개의 세션으로 구성 진행됐다.
28일 '경제자유구역 라운드 테이블'세션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한중일 성장거점의 협력(지역경제 기반)'이라는 주제로 IFEZ(인천경제자유구역)를 비롯한 한중일의 성장거점들이 상생협력을 통해 지역경제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등 한중일 경제협력의 전진기지가 되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날 행사는 한중일 3국의 역내 교역 비중이 전반적으로 확대되고 현재 협상중인 한중일 FTA 체결 시 전세계 GDP의 약 20%이상을 차지하며 세계 제3위권의 지역통합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는 한중일의 대표적 성장거점들이 상호협력하고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울러 법적 정책적, 금융 투자 및 서비스, 물류협력 등의 관점에서 성장거점의 협력을 모색하며 한국의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을 비롯 한중일 학계의 성장거점 전문가, 한중일 3국 협력의 정부대표,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 열띤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지면서 한중일 3국 성장거점들의 상호 협력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다.
곽준길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기획정책과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첨단 융·복합 산업을 유치해 집중 육성하고 있는 IFEZ는 한중일 성장거점의 시범단지(test-bed)로서 한중일 3국이 상생할 수 있는 협력정책을 법제/정책, 금융·투자/서비스, 물류 협력 관점에서 찾는 준비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행사가 지역경제 기반 한중일 경제협력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IFEZ 활성화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세션에서 나온 여러 내용 중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중앙정부 등과 협의, IFEZ가 대한민국 경제발전을 견인하고 한중일FTA 협상 진행에 맞춰 한중일 경제협력의 전진기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첫 번째 발표에서 한국법제연구원의 김명아 연구위원은 법적 정책적 관점에서의 한중일 성장거점의 협력 연구 발표를 통해 2017년 제주포럼에서 한중일 경제협력의 거점지역으로 도출된 중국 다롄, 톈진, 칭다오와 한국의 인천, 일본의 도쿄권과 후쿠오카 지역이 각 지역별 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출업종과 투자방식을 결정하고 한중일 협력거점 시범지역 조성을 통한 자유화 수준 제고와 표준협력으로 무역 편리화를 도모하는 방향을 제시했다.
두 번째로는 구기보 숭실대 교수가 포괄적인 협정보다는 지역간(분야별) 시범적 협정을 체결해 확대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홍콩-광동, 대만-복건성 간의 금융협력에 착안, 한국도 경제특구인 천진과의 시범적 금융협력 FTA를 체결하는 방향을 담은'금융·투자/서비스 관점의 한중일 성장거점의 협력 연구'에 대해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홍진영 인하대 교수는 글로벌 전자상거래 환경 하에서 동아시아 물류산업의 역할과 기대효과를 제시하며 한중일 3개국의 중복투자 방지와 자원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국가 간 협력과 공동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물류 협력 관점의 한중일 성장거점의 협력 연구'에 대해 발표했다.
![]() |
또한 일본측 후카가와 유키코 와세다대 교수는 일본, 중국, 한국의 성장거점의 차이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미래성장을 위한 새로운 협력 의제를 추가 발굴, 한중일 시장 통합을 위한 협력을 추진하고 IT 전문가, 근로자 및 기업가 공유, 경쟁 규제 완화 및 비즈니스 환경 개혁, 사회 혁신 대화, 자연 재해, 공공보건 및 운송에 대한 공통 데이터 아카이브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이번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한중일 성장거점의 제도적 협력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정부 간 협력을 통해 시범지역을 지정해 조성하며 상대국 경험을 수용해 성장거점의 운용 효율성을 제고해 나가는 한편 지속적인 협력 과제 발굴과 추진을 위해 한중일 FTA 협상 시 지역경제 협력방안을 논의해야 할 시점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제주포럼은 제주특별자치도와 국제평화재단, 동아시아재단, 중앙일보가 공동 주최하고, 제주평화연구원(원장 서정하)이 주관하고, 외교부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후원했다.
인천=주관철 기자 jkc05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