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기자전거 모습. <연합뉴스 자료> |
공공자전거 '타슈'의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자전거 이용 약자를 위해선 공공 전기자전거 도입이 반드시 필요 하지만, 민간산업에 미치는 파장을 우려해 사업이 전면 중단됐기 때문이다.
25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대전시 '타슈 공영전기자전거 도입 사업'이 환경부의 기후변화대응 공모사업에 선정됐다. 공모사업 선정으로 국비 5억원을 확보했다.
이 사업은 수요 억제와 환경개선을 위해 인공지능이 가미된 첨단 무인 대여소 시스템과 전기자전거를 운영하는 사업이다. 환경부는 2019년까지 28억원을 투입할 계획이었다.
공모사업을 따낸 대전시는 유력 자전거 제조회사와 전기자전거 공급 협상을 진행하고, 올해부터 시범사업으로 전기자전거 500여 대를 도입, 운영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대전시의 이런 구상은 지난해 말 '올스톱' 됐다. 지난해 12월 대전시의회 예결위에서 타슈 전기자전거 도입 예산 5억원을 전액 삭감한 것.
삭감 이유는 '시민안전사고 예방과 필요성 검토가 요구된다'는 것이었지만, 그 뒤에는 택시업계 매출 악영향에 대한 입장을 고려 했다는 후문이다.
국비가 포함된 사업에 대해 시의회에서 예산을 삭감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시비 예산을 삭감하면 확보한 국비를 반납해야 하기 때문. 실제로 시는 관련 사업으로 확보한 국비 5억원을 받지 못하고 사실상 반납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연구보고에서 대전시민 66%가 '공공 전기자전거 도입이 필요하다'며 사업을 찬성하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와 귀추가 주목된다.
타슈의 전기자전거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공공 전기자전거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66%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반면, '필요하지 않다'는 23.6%에 불과했다.
연구를 주도한 이재영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09년에 도입한 기존 타슈는 시스템이 낙후돼 시민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어 회전율이 떨어지는 상황”이라며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노인과 여성 등 자전거 이용 약자를 위해 타슈 전기자전거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내 도입 사례가 없어 대전이 이 사업을 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계별로 사업화하고 궁극적으로 범용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