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인 수지레스피아 악취배출구를 활용한 전망대에서 바라본 하수처리장 내 주민 편익시설 모습 |
국내에서 대표적 주민 친화적 하수처리장으로 주목받는 '용인 수지레스피아'을 23일 찾았다.
가장 먼저 눈에 띈 것은 도심 한복판에 위치했다는 점이다. 대형마트와 백화점이 도로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으며, 주변으로 아파트들이 빼곡하게 들어서 있었다. '하수처리장'이라는 말을 듣지 않고는 전혀 알 수가 없었다. 평소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면서 자주 접할 수 있었지만, '하수처리장'이라는 것을 이날 처음 알게 됐다. '용인 수지레스피아' 건설 당시에는 함께 조성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주택들이 이후에 조성됐다. 그만큼 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거부감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레스피아라는 용어도 '하수처리장'이라는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시민공모를 통해 만든 명칭이다.
![]() |
용인 수지레스피아를 운영하는 용인클린워터㈜ 한세운 팀장이 지하 하수처리장 시설을 통해 정수된 물을 보여주고 있다. |
지하와 달리 지상은 공공시설, 체육시설, 문화시설 등 주민 편익시설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주민자치센터와 축구장, 야구장,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공연장 등이 하수처리장 부지 내에 설치됐다. 악취배출구는 전망대로 활용하고 있으며, 식당도 자리 잡고 있다. 하루 이용객만 5000여 명에 이른다.
한세운 용인클린워터㈜ 팀장은 "건설 당시 혐오시설이라는 시민들의 반대에 여러 차례 주민 공청회를 통해 지하에 설치해 악취가 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했다"면서 "건설 이후 시민들을 직접 견학시키면서 믿음을 얻어냈다. 지금은 악취 관련 민원이 단 한 건도 없다"고 자부심을 보였다. 이어 한 팀장은 "하수처리장 내 시설도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원하는 방향으로 최대한 맞췄다. 시설을 이용하는 것은 주민들이니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 |
용인 수지레스피아 지상에 설치된 악취배출구(전망대)와 축구장 등 체육시설 모습 |
손철웅 대전시 환경녹지국장은 "용인 수지레스피아가 건설한지 10여 년이 지났으며 그 사이 기술력은 더 좋아졌다. 환경시설은 혐오시설이라는 꼬리표를 뗄 수 있도록 사업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대전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과 관련해 시의회 동의, 민간투자사업심의(기획재정부), 사업시행자 선정을 위한 제3자 공고, 사업시행자 지정, 실시협약 체결 등 후속절차를 계획대로 진행해 2021년 착공, 2025년 준공할 계획이다.
용인=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