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공무 수행 과정에서 자유롭게 이용해 오던 상용메일을 하루아침에 사용하지 못하게 됨에 따른 혼란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국정원의 상용메일 금지 방침에 따라 대전시 공무원들은 사무실 안에서 행정 망을 통해 다음, 네이버, 야후, 파란 등 모든 상용메일을 사용하지 못한다.
상용메일 사용과정에서 해킹이나 악성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으며 대외비 등 비밀 문서 등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 보안강화 차원에서 취해진 조치다.
이에 따라 대전시 공무원들은 지난 3월 구축된 시 자체 웹메일인 ID@daejeon.go.kr에 가입한 뒤 이를 통해 이메일을 주고받아야만 한다.
시는 지난달 중순 ‘상용 이메일 서비스 중단에 따른 이메일 사용 안내`라는 직원 공지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지했다. 그러나 당장 부쩍 줄어든 이메일 용량을 걱정해야 하는 고민이 생겼다.
대전시 웹메일 용량은 고작 100MB(메가바이트).
웹메일에 대용량 첨부 기능이 있지만 보관 기간과 다운로드 횟수에 제한이 있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그동안 GB(기가바이트) 급 용량의 상용메일을 사용해 오던 공직자들은 사무실 내에서 업무협조나 정보교환을 위한 메일 송수신 작업에 제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시청 한 공무원은 “타 기관 관계자와 용량이 큰 도면, 사진 등의 문서를 상용메일을 통해 자유롭게 주고받았지만 이제는 여러 번에 걸쳐 메일을 보내거나 직접 찾아가 자료를 전달해야 하는 등 줄어든 메일용량 때문에 업무 처리과정에서 큰 불편이 생길 것 같다”고 고충을 털어놨다.
이 같은 불편은 기가급 용량이 제공되는 문화관광부 공직자 통합 이메일인 ID@korea.kr이 구축되는 2009년 2월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일선 구청 공무원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
새로 바뀐 이메일 주소를 일일이 외부에 알려야 하고 근무시간에 이메일 확인을 위해 출장(?)을 가야하는 해프닝도 비일비재할 것으로 보인다.
구청의 한 공무원은 “업무상 민원인으로부터 이메일을 많이 받고 있는데 민원인이 웹메일 주소를 알지 못해 상용메일로 보냈을 경우 행정 망이 깔린 사무실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로 나가 확인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
시 정보화담당관실 관계자는 “외부인과 이메일을 자주 주고받는 공무원에 한해서는 시 웹메일 용량을 늘려주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상용메일 금지로 당분간 업무처리 과정에서 일부 불편이 있을 수 있지만 내년 2월 공직자 통합메일이 개통되면 불편사항이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제일 기자 kangjei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