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전까지 대전은 도심 인근 농촌 지역에서만 소멸 위험이 나타났었다.
15일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세종지역 행정동별 인구감소 현상과 정책적 의미' 자료에 따르면 대전에서는 '소멸고위험 지역'은 없지만 동구 중앙동(0.27), 대청동(0.26), 판암2동(0.43) 그리고 중구 문창동(0.41), 서구 기성동(0.21)이 '소멸위험진입지역'으로 조사됐다. 이 결과는 2017년 전국시도연구원협의회가 조사 발표한 '전국소멸위험지역 유형(2015년 기준)'이다. 대전은 지역소멸위험지수가 1.31(2015년)로 소멸위험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2010년 1.77, 2005년 2.47로 갈수록 소멸 위험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전 5개 기초자치구 중에는 대전 중구(0.85)가 가장 소멸의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동구(0.96)으로 파악됐다.
행정동별 인구감소 경향을 살펴본 결과, 대전지역 도시 내 인구의 불균등한 분포 경향이 뚜렷했다.
대청동과 기성동은 농촌 지역으로 소멸위험지수의 변화가 2005년과 비교해 그리 크지 않다. 그러나 판암2동과 문창동은 각 1.39에서 0.43, 1.01에 서 0.41로 10년 동안 위험도가 크게 높아졌다. 중앙동을 포함해 도시 한가운데에서 소멸의 위험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다.
주혜진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도시 내 특정 지역의 복합적 쇠퇴현상에 주목하고 이를 해소해야 한다"면서 "개성 있는 자립형 도시재생 정책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판암2동과 문창동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의 강화'를 주제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사회적 약자 친화형 마을'로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한, 대청동, 기성동 등 도농지역은 협동조합 활성화 등 도심과의 공생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역소멸위험지수란 65세 이상 고령인구 대비 20~39세 여성 인구 비율3)로, 소멸위험지수가 1.0이상이면 소멸저위험지역, 0.5이상 1.0미만이면 소멸주의지역, 0.2이상 0.5미만이면 소멸위험진입지역, 0.2미만이면 소멸고위험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