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대전시청 3층 세미나실에서 열린 '도시재생 트램을 말하다' 전문가 세미나 모습. |
서민호 국토연구원 박사는 19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도시재생 트램을 말하다' 전문가 세미나에서 발제자로 나서 대전시가 트램 노선 중심의 회랑형 도시재생 모델을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중교통회랑은 대중교통 중심 도시공간 구조 형성을 위해 트램 등 노면형 대중교통노선 주변 반경 400~600m 지역의 토지이용과 기능을 중·고밀도로 복합화하고, 보행·자전거 친화적인 대중교통 중심 생활권을 회랑형으로 조성하는 도시-교통 통합 정비·재생 방식이다.
서 박사는 "회량형 도시재생 모델 적용의 우선적 목표는 도시의 경제·사회적 활동을 수용하고 여가·학습·문화적활동의 중심이 되는 '사람 중심의 가로 형성'"이라면서 "추가적으로는 트램을 통해 접근성 제고 및 삶의 질을 확대해 도시재생혁신지구 내 혁신 생태계 조성이 목표"라고 밝혔다.
서 박사는 대전 도시철도 2호선 예상 노선의 장소특성별로 유형화한 '상업가로형', '문화가로형', '주거가로형' 3가지 회량형특화모델을 제시했다.
서 박사는 "중리동이나 충남대 일원 등에 조성되는 상업가로형은 공공공간 확충과 공공임대주거 확충으로 기능 복합화 및 밀도·경관·어메니티 향상 등이 필요하다"면서 "상업가로형 적용 지역은 대부분 차폭이 넓어 자전거도로, 보도 등으로 가로 폭을 줄이고, 도시경관을 고려해 8~12층 등으로 밀도를 정비해야 한다. 유동인구와 트램 이용자 확보를 위해 연접지에 공공임대주택 공급 등을 통해 업무·주거 기능 확충, 공공공간 확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서 박사는 트램과 공공임대주택 정책은 필수라고 주장했다.
이어 서 박사는 "충남대, 농수산물시장, 한밭운동장 인근에 적용되는 문화가로형은 도시 내 역사-교육-문화거점을 연계하고, 내부 투과를 위한 골목·상권 재생 병합이 필요하다"면서 "원도심 일부 구간은 문화·역사시설을 연결해 무료화할 것을 고민해봐야 하며, 문화·교육시설 접근성 개선을 위한 물리적 차폐 해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서 박사는 "둔산신시가지나 대동·가양·용전 등 원도심주거지, 테미고개 등에는 주거가로형 적용이 필요하다"면서 "원도심은 노후건축물 재생·보전과 생활SOC확충 촉진하고, 신시가지는 광로를 식재·보행횡단체계로 분절해야한다"고 밝혔다. 트램 연접가로 공간 정비 추진 원칙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서 박사는 대중교통 접근성 제고, 버스전용차로 설치, 도로다이어트, 보행·자전거환경 정비 등이 필요하며 보행과 대중교통·자전거·택시·승용차 순의 수단간 우선 순위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최정우 목원대 교수도 넓은 도로 폭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대부분 트램이 적용되는 도로의 폭이 넓어 가로 형성이 쉽지 않다. 이를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대중교통 수단의 변화 폭이 큰 만큼 트램 외에 다른 대중교통수단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부분도 고민해야한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