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도시 전경.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따르면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분석 결과 지난해 세종시의 인구 10만 명 당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247.4건으로 전국 지자체 중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국 평균 420.5건의 58.8% 수준이며, 특히 행복도시의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0.9명으로 전국 평균 7.3명의 1/8에 불과하고 두 번째로 낮은 서울시(3.1명)와 비교해도 현저하게 낮다.
무엇보다 지난 2011년 첫마을 입주 후 현재까지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13세 이하 어린이가 사망한 교통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행복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도입한 속도저감 정책과 교통정온화 시설 때문으로 풀이된다.
행복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안전한 보행환경 조성을 위해 주도로는 시속 50km로 제한하고 집산도로는 시속 30km로 제한하는 안전속도 5030정책과 함께 고원식횡단보도, 고원식교차로, 회전교차로, 과속방지턱, 지그재그형도로, 차로폭 좁힘 등 다양한 교통정온화 시설을 설치했다.
김상기 행복청 교통계획과장은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중교통 및 보행자 위주의 교통정책 효과가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정책이 승용차 운전자 입장에서는 제약과 불편 사항으로 느껴질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세종시와 행복청, 세종경찰서, 한국교통연구원, 도로교통공단 등 관계기관이 정기적으로 만나 '교통흐름 최적화 회의'를 개최하여 불합리한 점을 찾아 개선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