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지역 현황도. (그래픽=연합뉴스) |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17과 18일 두 차례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확진돼 7개 농장 사육돼지 1만 5000마리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을 진행했다.
첫 확진사례로 보고된 경기 파주 돼지농가와 가족 소유 2개 농장에서 각각 예방적 살처분이 실시됐고 18일 추가 발병한 경기 연천의 돼지농가와 주변 3㎞ 3개 농가 5500마리까지 살처분했다.
농식품부는 발생농가에 역학조사관을 파견해 감염경로와 원인을 파악 중이나 현재까지 밝혀내지는 못하고 있다.
더욱이 아프리카 돼지열병 확진을 받은 두 농장에서 방역에 취약한 부분이 마땅히 발견되지 않고 있다.
경기 파주의 돼지농장은 창문이 없는 사육공간에서 새끼돼지를 생산하는 곳으로 야생멧돼지 침범을 막는 울타리가 있고, 남은 음식을 재급여하는 농장도 아니었다.
또 두 번째 발병농장 역시 사료를 급식하고 야생멧돼지의 접촉을 차단하는 울타리를 시설했다.
파주 발병농장에 외국인 근로자들은 출국 없이 국내에만 머물렀고 연천 발병농장 외국인 근로자 4명 중 1명이 지난 5월 네팔 고국에 다녀왔으나 네팔은 ASF 발생 국가가 아니다.
두 발병농장은 거리상 50㎞ 남짓 떨어졌고 같은 사료차량이 오고 간 이력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발병 현장에서는 야생멧돼지를 유력한 감염경로로 보는 반면에 방역당국에서는 야생멧돼지가 감염원일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ASF에 오염된 잔반을 돼지에게 재급여하거나 감염된 야생멧돼지와의 접촉, 바이러스가 묻은 사람과 차량의 농장 왕래 등으로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감염경로로 추정되는 취약점이 발견되지 않으면서 원인을 규명하는 데 시간이 오래 소요될 가능성까지 나오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두 농장의 사람교류 등은 시간을 갖고 파악할 사안으로 역학조사에 결과가 나오는데 최고 6개월까지 소요될 수 있다"라며 "감염경로 파악과 별개로 경기 6개 시·군을 ASF중점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차단방역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세종=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