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8일 우한시에 거주하는 교민 693명이 오는 30일부터 31일까지 정부가 마련한 전세기에 탑승해 귀국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세기를 통해 한국에 입국할 경우 정부가 마련한 시설에서 최소 14일간 격리 생활을 해야 하며 정부의 발표 이후 일부 언론은 정부가 천안지역에 있는 공공시설을 꼽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력한 공공시설로는 천안시 유량동 소재 우정공무원 연수원과 목천읍에 위치한 국립중앙청소년 수련원이다.
이들 기관은 모두 정부 산하 기관으로 큰 무리 없이 현지 교민들을 수용할 수 있는 상황으로 특히, 우정공무원 연수원의 경우 사방이 산으로 막혀있는 데다가 출입 통제가 쉽고 인근에 국가지정입원치료 음압 병상을 운영하는 단국대학교병원이 위치해 있다.
현재 우정공무원 연수원은 공식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되지 않은 상태지만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은 28일부터 일부 프로그램의 운영이 시작됐다.
이에 따라 시민 사이에서는 전세기가 청주공항으로 들어온 뒤 교민들이 천안으로 들어올 것이라는 불안감과 함께 격리시설 지정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특히, 지난 2018년 발생한 라돈침대 사태 당시 천안시가 대승적 차원에서 전국의 모든 침대를 수거해 보관·해체까지 한 만큼 이번에는 양보할 수 없다는 여론이다.
현재 천안지역에서 단 한 명의 신종코로나 바이러스 환자가 발생하지 않은 점을 들면서 교민들의 대거 입국 이후 천안 지역에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비난이 커지고 있다.
아울러 천안시가 교통의 요충지인 만큼 천안에서 환자가 발생하게 되면 전국으로 퍼져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도 크게 점쳐지는 상황이다.
격리시설로 검토되는 기관의 한 관계자는 "현재까지 직원들에게 공식적으로 방침이 내려온 것은 없다"며 "정부 기관인 만큼 우리가 어떻게 하겠다는 결정 권한도 없기 때문에 언론 보도를 보면서 정부 방침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안서동 거주 A(36)씨는 "지난번 라돈 사태도 천안이 희생했는데 우한 폐렴은 천안과 아무런 이해관계도 없는데 왜 검토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며 "잘못된 정보길 바라지만 만약 천안으로 이들을 격리 수용한다면 여론이 심상치 않게 움직일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천안=김경동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