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일 대전경찰청에 따르면, 최근 2년간 데이트 폭력으로 인해 구속된 인원은 2018년 11명, 2019년은 17명으로 6명이 증가했다.
2017년엔 데이트 폭력 가해자가 22명이 구속돼 2018년엔 감소하는 듯 보였지만 지난해엔 50% 이상 크게 증가했다. 2020년은 1월에만 27명이 데이트 폭력 혐의로 입건됐다.
다만, 형사 입건된 수는 2017년 586명에서 2018년은 506명, 2019년은 479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긴 했다. 입건 자체는 줄어들지만, 구속 건수가 많은 이유론 데이트 폭력에 초기 대응을 잘못 해 구속될만한 강력 범죄가 일어날 때까지 피해자들이 참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한 남성이 교제 중인 여성에게 데이트 폭력을 휘둘러 징역을 선고받았는데, 흉기로 상해를 입히고 모텔에 감금하는 등 특수 상해와 감금 혐의를 받았다. 이후 가해 남성은 피해자에게 상당한 합의금을 주고 합의에 이른 후에 항소심에서 징역 1년 6월에 집행유예 3년, 240시간의 사회봉사 시간을 받기도 했다.
데이트 폭력의 심각성은 외상 후 정신적·육체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보이는 것보다 훨씬 큰 위험성이 있다.
을지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지애 교수는 "데이트폭력은 신체적 폭행, 성적 폭행 등 심리적 충격이 큰 트라우마를 피해자에게 줄 수 있으며, 특히 가해자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대상이기 때문에 충격의 깊이는 더욱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라우마 중에서도 대인관계 요소를 가지는 트라우마(일반 교통사고나 자연재해 등과 다른 신체 폭행, 성폭행 등)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더 잘 일으키고, 피해 사실을 쉽게 알리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방치했을 때는 큰 심리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경찰은 폭행을 당하면 빨리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경찰 관계자는 "데이트 폭력이라고 잘라 얘기하기보다는 작은 폭행이라도 당했다면 결단을 내려 신고를 하는 것이 더 큰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