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 |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6일 관보를 통해 공개한 2020년 정기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허태정 대전시장의 재산은 5억1703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352만 원이 감소했다. 예금이 3000만원가량 줄었다.
양승조 충남지사도 지난해보다 3704만 원 적은 4억1265만 원을 신고했다. 자택 수리를 위해 4500만 원을 지출했다.
이시종 충북지사는 12억3473만 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는 지난해 15억1873만 원보다 2억8399만원 감소한 것이다. 배우자가 소유한 청주 오송 아파트를 매각하고 대출금을 갚으면서 재산이 줄었다.
충청지역 타 시·도 단체장들 재산이 줄어든 반면 이춘희 세종시장은 전년보다 3억7255만원 증가한 40억 6952만원을 신고했다. 경기 과천시 소재 본인 명의 아파트와 배우자가 세종시 나성동에 산 상가 건물의 가치가 1억5600여만원 올랐다. 또한 지난해 6월 3억5000만원에 계약한 세종시 집현리 아파트(분양권)가 반영됐다.
이춘희 시장 뿐만 아니라 세종지역 공직자 대부분의 재산이 늘어난 점이 눈에 띈다. 세종시 재산 공개 대상자 22명 중 77.2%인 17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정윤기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서울·경기에 주택 4채(부인 명의 3채)를 보유해 주목을 받았다. 정 부시장은 18억9500만원을 신고했는데, 1년 전보다 3억1100여만원이 증가했다. 서울 주택 3채의 가치가 1억8300만원 상승했고, 지난해 새로 구입한 단독주택(4억2800만원)이 반영됐다. 단독 주택 구매로 예금은 줄었다.
대전 5개 구청장은 모두 재산이 늘었다. 황인호 동구청장은 4억8714만원, 박용갑 중구청장은 10억6480만원, 장종태 서구청장은 6억4364만원, 정용래 유성구청장은 2억2256만원, 박정현 대덕구청장은 3억200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재산을 신고한 대전시 8개 공직유관단체장 중에는 최수만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55억 18만원으로 재산이 가장 많았으며 1년간 13억4251만원이 증가해 증가 폭도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최철규 대전마케팅공사 사장이 31억8803만원으로 많았다.
충남 도내 13개 시장·군수의 재산이 늘어난 가운데 문정우 금산군수와 최홍묵 계룡시장의 재산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오세현 아산시장이 18억67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가장 많았으며 가세로 태안군수가 14억7546만원을, 김동일 보령시장이 13억3661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충북 도내 시장·군수 11명의 평균 재산은 10억7666만원이다. 지난해보다 8325만원 증가했다.
정상혁 보은군수와 조병옥 음성군수의 재산은 감소했으나 나머지는 모두 증가했다. 이들 중 재산이 가장 많은 기초단체장은 김재종 옥천군수로 27억3499만원을 신고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