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 사태로 개학이 세 차례 연기됐지만 지역 확진자가 꾸준히 발생하는데다 학교가 감염병 재확산의 고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반면, 휴업 장기화에 따른 학습결손 심각화로 더 이상 지체할 수는 없다는 의견도 나오면서, 법정 수업일수를 최대로 줄인 4월 20일 개학이 마지노선으로 거론되고 있다.
정부는 개학과 관련해 학부모와 지역사회 여러 의견을 수렴해 30~31일께 최종 발표할 것으로 알려진다.
세종시교육청은 일단 4월 6일 개학에 초점을 맞춰 신학기 개학지원단을 구성했다.
부교육감을 단장, 교육정책국장을 부단장으로 한 지원단은 통합점검반·감염예방지원반·학사지원반·행정지원반·홍보관리반 등 모두 5개 반으로 체제를 갖췄다.
코로나19 대응 학교 방역물품 비축 지원, 유사시 전문 인력 투입, 개별 학교에 맞는 학사일정 조정 및 온라인 원격 수업 지원 등 학교가 철저한 생활방역으로 교육활동을 개시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시교육청은 신학기 개학 준비 매뉴얼도 개발해 일선학교에 보급했다.
학교별 비상대응반을 조직하고 교직원 협력체계를 구축해 30일부터 교육과정 및 학사일정 편성·조정, 학생 생활지도 방안 마련 등 개학준비 집중 주간을 운영한다.
개학과 동시에 여러 상황에 따른 학교 문의가 폭주할 것에도 대비해 교육청 실무진 50여명으로 구성된 원스톱 학교 지원체계도 구축한다.
앞서 최교진 교육감은 세종교사노동조합,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전국교직원노동조합세종지부, 세종시교원단체총연합회 등 6개 교원단체들과 간담회를 갖기도 했다.
신학기 개학 준비 매뉴얼의 내용을 공유하고 교실과 급식실 등 물리적 거리두기, 확진자 발생 시 온라인 원격수업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최교진 교육감은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 예정된 4월 6일 개학을 하게 되면 학교와 교육청의 임무가 막중하게 된다"며 "학교가 생활방역의 원칙을 지켜 안전한 배움의 리듬을 가질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행 법령상 최대 감축 가능한 수업일수는 190일의 10%인 19일로, 이미 10일이 감축돼 4월 20일 개학이 마지노선인 상황이다.
세종=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