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는 긴급차량의 이동 위치를 미리 감지해 정차 없이 교차로를 통과하도록 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오는 8일부터 19일까지 열흘 간 시범 운영을 한다고 1일 밝혔다. 제공은 대전시 |
어느 건물에 불이 나면 소방차는 한시가 급하다. 단 1초라도 빨리 가서 불을 꺼야 한다. 위중한 환자를 싣고 병원으로 가야하는 앰뷸러스도 신속성을 기해야 한다.
이것을 골든타임이라고 한다. 돌든타임을 잘 지키면 생명을 살릴 수 있다. 1분 1초가 아쉬운 상황이다. 우선신호신스템이 잘 갖춰져야 하는 이유다.
대전시가 소방차 등 긴급차량이 현장까지 정차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우선신호시스템을 구축하고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시는 긴급차량의 이동 위치를 미리 감지해 정차 없이 교차로를 통과하도록 신호를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오는 8일부터 19일까지 열흘간 시범 운영을 한다고 1일 밝혔다.
시범운영 구간은 대덕소방서와 서부소방서 관할 2개 구간으로, 대덕소방서에서 오정농수산물시장까지 4.5㎞ 구간과 서부소방서에서 서대전역네거리까지 4㎞ 구간이다.
시는 이번 시범 운영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보완한 후 7월 중 정상 운영할 예정이며, 운영 구간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강규창 시 교통건설국장은 "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을 통해 긴급출동 차량의 이동속도 향상과 사고현장 도착시간 단축 및 긴급차량의 사고 예방에 기여해 골든타임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시범 운영 중 이 구간을 통행하는 시민들에게 각별한 이해를 당부하며, 시민 안전을 위한 교통체계 우선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전은 1970년대 대덕연구단지 조성으로 한국과학기술을 선도하는 과학도시로 불렸다. 대전은 1993년 '대전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과학도시` 대전을 전 세계에 알렸다. 이후 대전은 세계적 혁신 클러스터이자 창조경제 허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지역공약으로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 육성'을 선정했다. 과학도시 대전은 4차산업혁명특별시라는 또 하나의 도전에 나섰다. 대전은 대덕연구개발 특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단지 등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과학 인프라와 기술 역량이 결집된 도시다. 40년 이상 과학기술 연구 개발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최적지로 평가를 받고 있다. 대전시는 혁신적인 창업 생태계와 연구혁신센터 조성 및 미래 신성장 동력 확보를 통해 '4차산업혁명특별시의 완성'을 목표로 한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