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 유성엔 한국원자력연구원이과 한전원자력연료 등이 있다.
그런 이유로 방사성 폐기물과 관련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이 방사성 폐기물을 경주로 옮긴다고 했지만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더구나 방사성 폐기물이 보관돼 있는 유성 지역엔 주민들이 살고 있어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대전시의회 원자력안전특별위원회(위원장 구본환)는 1일 제5차 회의를 갖고 원자력안전 시민신뢰도 제고를 위한 18개월의 활동을 마무리했다.
위원회는 방사성폐기물이 보관된 지역 원자력안전의 위협을 해소하고자 2018년 12월 출범해 5차례 회의와 4차례 현장방문했다.
또 원자력안전 세미나 및 토론회 등 원자력시설에 대한 시민 불신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해 왔다.
이를 통해 원자력시설 시민안전 소통센터 구성·운영, 방사능 방재시스템 구축, 환경방사선 실시간 이동측정 감시차량 운영, 대전시 차원의 종합관리대책 마련 등을 통해 원자력안전 관리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도를 제고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구본환 위원장은 "특위 활동을 통해 원자력시설의 안전관리와 원자력 위협요소를 지속적으로 제고해 왔다"며 "앞으로도 원자력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을 위해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의하여 시민들의 권리보호와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제8대 대전시의회 원자력안전특별위원회는 2018년 12월 14일 위원장 구본환(민주·유성4) 의원, 부위원장 홍종원(민주·중구2) 의원, 위원 민태권(민주·유성1)·김찬술(민주·대덕2)·우애자(통합·비례) 의원 등이 활동해왔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