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일 대전시의회에 따르면 9일 의장 후보 등록 이후 13일 본회의 투표를 거쳐 후반기 의장단을 선출한다. 당초 3일 본회의 때 후반기 단독 후보로 올라선 권중순 의원의 투표 결과 시의원 22명 중 11명의 무효표가 나오면서 일정이 뒤로 밀린 것이다. 의원총회 당시 권중순 의원이 후반기 의장에 올라서기로 '당론'이 결정됐음에도 시의회 22석 중 21석을 차지한 민주당 내에서 무효표가 10표가 나오자 합의된 사안이 뒤집혔다.
권 의원은 직후 사퇴서를 제출했고, 일부 의원은 정당정치가 사라졌다며 무기한 농성에 돌입한 상황이다. '친권(친권중순)파 대(對) 비 권(비권중순)파'으로 당내 의원들의 계파가 극명하게 엇갈리며 현재까지도 '강대 강' 대치정국이 계속되고 있다.
지역 정가 일각에선 권 의원이 사퇴를 강행하느냐 아니면 이 의사를 철회하느냐에 따라 파행이 계속되고 있는 시의회의 정상화 여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권 의원의 복귀와 함께 의장 후보군에 올라서면 과반수를 확보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비권파에서 '당론'으로 규정된 사안을 어긴 데 따른 '책임론'이 나올 수 밖에 없을 것이란 해석이다. 민주당 당적을 가진 만큼, 민주당 대전시당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수차례 공문을 보내 의원총회 당시 합의된 내용을 이행하고, 합의된 사안이 이뤄지지 않으면 그에 따른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기 때문이다. 또 현재 시의회에서 무기한 농성을 하는 의원들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무효표를 던진 이들이 자신들이 알려질까 부담을 느낄 수 있다. 2년 뒤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공천을 받지 못할 우려도 부담이다.
권 의원의 사퇴 시엔 그야말로 반쪽짜리 의회로 전락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의회 회의규칙에 따르면 사직서는 과반수의 의원이 투표를 통해 정하게 된다. 본회의 투표 당시 무효표를 던진 11명의 의원이 찬성하게 될 경우 사직서 처리가 된다. 이렇게 되면 본회의 투표 당시 찬성과 반대 11대 11에서 권 의원의 자리가 빠진 10대 11로 비권파가 앞서게 된다. 비권파에서 의장 후보를 등록할 경우 득표율은 과반수가 된다. 또 13일 본회의 투표 때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이 이뤄지면 된다는 조항이 있어 비권파에서 의장 후보가 선출될 가능성도 있다. 다만, 현재 무기한 농성에 돌입한 의원들의 반발이 거센 상황에서 비권파 중 의장 당선인이 나온다면, 현재보다 논란이 가중될 수 있다. 말 그대로 무기한 농성이기 때문에 지난 의원총회 당시 결과가 받아들여지지 않는 상황에서 비권파 11명만 의정활동을 하는 최악의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
지역 정가 관계자는 "권 의원이 사퇴를 강행할 땐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며 "사퇴를 철회하고 의원총회 당시 결론대로 의장 후보군이 된다면 반대파를 흡수할 수 있는 리더십은 반드시필요하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