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의 한 지하차도가 물에 잠겨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
전국적으로 지하차도 침수피해가 잇따랐다는 점에서 향후 피해예방 등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15일 동구 등에 따르면 침수피해를 입은 지하차도는 대전역, 동산, 원동, 대동, 소정 등 5곳으로 경부고속철도 대전 도심통과구간 건설사업 일환으로 지난 2018년께 준공됐다.
해당 사업을 실시한 국가철도공단은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도심 철도 변 정비사업에 따라 대전 지역 내 철도노선을 횡단하는 15곳에 대해 신설과 개량 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이번 여름에 내린 집중호우로 3분의 1에 해당하는 5곳에서 배수펌프가 정상 가동하지 않아 지하차도가 침수됐다.
지하차도의 경우 전기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시설에 물이 들어가면 공급이 중단된다. 때문에 그동안에는 지하차도 전기시설을 지상에 설치했지만, 최근 도시미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 지하로 내렸다.
최근 유례없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지하에 있는 전기시설에 빗물이 유입돼 우려했던 배수펌프도 멈췄다.
구는 전기, 배선 등 침수로 인한 피해를 응급복구 진행했으며, 비용만 대략 4억 원에 달한다. 또 지하차도에 유입된 빗물을 퍼내는 작업에만 3일 이상 소요되기도 했다.
이상기후로 인한 지하차도 침수는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 7월 부산 동구에서는 지하차도 침수로 인해 3명이 숨지기도 했다.
지하차도 침수피해 대비책에 관심이 쏠리는 까닭이다.
동구는 침수를 추후 방지하기 위해 지하에 있는 전기시설 등을 지상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침수가 일어난 지하차도부터 우선 진행하며, 나머지 지하차도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변경할 계획이다. 5곳의 시설을 지상화하는 작업 비용은 17여억 원이다. 장기적으로 비용과 안전을 고려해 판단했다.
구 관계자는 "수십 년 전부터 도시미관 등의 이유로 전기시설 등을 지하에 설계해 공사를 진행한다"며 "20년 가까이 이런 침수 사례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지 못했는데, 올해는 기상이변으로 인해 침수가 발생하게 된 것 같다. 차후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침수된 5곳부터 지하에 있는 시설을 지상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