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민구 명예회장(사진 왼쪽)과 강은모 대표가 대회 마지막 날인 2012년 6월 28일 유성 CC에서 열린 제36회 강민구배 한국아마추어골프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한 김효주(당시 대원외고 2년, 국가대표)와 포즈를 취하고 있다.(18번 홀) |
아웃이 '길고(길이)·좁고(페어웨이)· 깊다(러프)'면 인 코스는 그 반대다.
인 코스가 아웃보다 점수가 잘 나오는 이유다.
■호국 홀(10번 홀)=국립대전현충원을 향해 공을 친다고 해서 '고초'를 겪는 홀이다. 티박스에서 정면으로 현충탑이 보인다.
군사정권 시절 '불경하다' 해서 구박을 많이 받았다. 1980년대 어느 날 전두환 전 대통령이 유성골프장에서 '운동'을 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비상이 걸렸다.
골프장 측은 부랴부랴 10번 홀 티박스 왼편에 '호국영령'을 추모하는 내용의 안내판을 설치했다. 심기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유성 CC 는 클럽하우스 내에 VIP 대기실을 준비하는 등 손님맞이를 마쳤으나 라운딩이 취소돼 없었던 일이 되고 말았다.
그 후로 티샷을 하기 전에 현충탑을 향해 묵념을 하는 '로컬룰'이 생겨나 아직도 이를 따르는 골퍼들도 많다.
골프장 내엔 17개 홀에 나이트 시설이 있으나 유독 10번 홀에는 없다. 선열들이 안면을 방해할 수 있다는 '관계기관들의 민원' 제기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티박스 앞뒤로 영산홍이 만개하는 봄에는 일대 장관을 이루며 대표적 포토존이 되고 있다.
![]() |
10번 홀 티박스 왼편에는 티샷에 앞서 호국영령의 숭고한 뜻을 마음에 새기자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
드라이버·우드·롱아이언· 퍼터 등 사용하는 클럽 모두가 '굿샷' 소리를 들어야 버디가 가능한 홀이다.
거리를 마음껏 낼 수 있는 코스라서 프로 입문을 앞둔 선수들이 가장 좋아하는 홀로도 알려져 있다.
1번 국도와 나란히 배치돼 왼쪽으로 공이 넘어가면서 운전자들과 민원이 종종 발생해서 캐디들이 가장 긴장하는 곳이다.
![]() |
유성 CC에서 가장 길어 장타자들 사이에선 '기운'을 뽐내는 코스이나 레이디나 단타자에게는 비호감 홀이다. |
유성에서 홀인원을 한 골퍼들의 대다수는 이곳에서 했다. '니어리스트 홀'로 지정·운영되고 있다.
■수달 홀(14번 홀)=par5의 우측 도그렉 홀이며 비교적 짧다. 장타자는 투혼이 가능하지만, 전략이 필요한 홀로 욕심은 금물.
티박스 앞쪽의 워터해저드에는 잉어, 청둥오리 등이 서식한다. 아침· 저녁으로 천연기념물 제330호인 수달이 출몰할 만큼 청정지대로 꼽힌다. 8번(느티나무 홀)과 함께 이글이 많이 나와 장타자들은 서비스 홀로 부르고 있다.
![]() |
14번 홀 워터해저드(연못)에는 수달이 나타날 정도로 깨끗한 물이 흐르고 있다. 언못이 조성 된지 50년이 넘어서 이 곳에 처음 살던 잉어가 여지껏 살아 있다면 "쉰은 됐을 것"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전해진다. |
'굿바이 홀'임에도 고객들이 좋은 점수를 내지 못하고 떠난다는 '원성'이 잦자, 강은모 유성CC 대표가 골퍼들의 여론을 수렴해 티박스를 50m 앞쪽으로 당겨놓았다.
'강민구배 한국여자아마추어골프선수권대회'를 비롯해 각종 대회의 시상식장이 차려지며 고(故) 강민구 명예회장의 골프 인재 육성 정신을 기리는 홀로 알려져 있다.
김미희주 사장은 "유성CC가 한국 여자 골퍼의 요람이나 정작 여자 골퍼들을 덜 배려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이 많아 2년 전부터 레이디 티박스를 앞당겨 여자 골퍼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남자 티박스와 거리 차이가 크지 않아 여자 골퍼들의 점수가 적게 나온다는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다.
오주영 기자 ojy83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