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있는 축제일수록 행사 불발이 아쉬운 것은 지역주민과 관광객, 지자체가 다르지 않다. 하지만 실외 행사라도 밀접한 접촉이 이뤄져 감염 위험성이 높다. 이보다 더 중한 취소 사유는 없다. 대면 행사 위주인 한밭시낭송 전국대회 등 많은 행사들은 성격상 올해를 건너뛸 수밖에 없었다. 부족하나마 부산 수학축제와 같이 랜선으로 가능한 축제도 물론 있다. 드라이브스루를 통한 축제를 생각해볼 수는 있겠으나 여러 사람이 모일 빌미를 제공한다는 게 문제다.
지역 농산물 판매를 곁들이는 행사는 이와 좀 다른 각도에서 볼 필요가 있다. 보은 대추축제가 온라인 공간으로 옮겨진 것이 그러한 예다. 산청 한방약초축제에 이어 금산 인삼축제도 온라인 개최 계획을 잡았다. 이 경우, 접촉 없이 농산물을 구매하는 형식으로 전환하면 되는 것이다. 잘만 하면 유튜브와 SNS에 익숙한 젊은층 대상의 마케팅 영역 확장이 가능하다. 괴산 고추축제도 랜선 라이브쇼 등으로 전환해 성공리에 마쳤다. 이후 대면행사로 복귀했을 때의 외연 확장 여지를 지금 만들어두면 좋다.
시흥 월곶포구축제처럼 온라인 개최가 무의미할 때는 취소가 더 합리적이다. 그렇지 않다면 온라인 비대면으로 소비자를 찾아가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봉화 은어축제에서 310만 이상의 접속자 조회 수를 기록한 선례가 있다. 보은 대추축제 등을 비대면 축제의 새로운 표준으로 만들길 기대해본다. 온라인 축제의 변함없는 성공 조건 하나는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