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는 20일 시청 응접실에서 유성구,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와 원활한 스타트업파크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왼쪽부터 김정수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장, 허태정 대전시장, 정용래 유성구청장 |
대전시는 20일 시청 응접실에서 유성구,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와 원활한 스타트업파크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스타트업파크 조성에 적극 협조키로 했으며, 지역경제 활성화, 혁신기술 창업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에 기대감을 나타냈다.
협약에 따라 대전시는 스타트업파크 조성사업과 운영을 총괄하고, 유성구는 지역 인프라 연계 및 활용과 행정적·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이와 함께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는 대전 스타트업파크 건축조성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이다.
시는 지난달 중소벤처기업부가 공모한 스타트업파크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
스타트업파크는 미국 실리콘밸리와 같은 창업벤처 생태계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창업자와 투자자, 대학 등은 개방된 환경에서 사업 아이디어를 교류하고 협력할 수 있다.
대전시는 스타트업 파크를 'K-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한 혁신기술 창업 클러스터'로 조성할 계획이다. 2022년까지 충남대와 카이스트 사이 궁동 일원에 창업 혁신주체가 활발한 소통과 교류를 할 수 있는 개방형 창업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창업 활동을 지원하는 플랫폼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 앵커 건물 등 총 14개 창업공간을 조성한다.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이 지원해 혁신 창업기업을 발굴, 투자 및 성장을 지원하는 자생적 창업생태계를 조성한다.
대전시는 벤처캐피탈(VC), 액셀러레이터(AC) 등 전문 역량을 보유한 민간운영사 10개 이상을 유치하고 인프라 투자(신한금융 200억 투자), 벤처 투자(600억 규모의 벤처투자 펀드 조성) 등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또한, 올해 연말 준공예정인 충남대 내 팁스(TIPS) 타운과 스타트업 파크 내에 조성할 예정인 재도전·혁신 캠퍼스, 먼저 구축된 창업성장캠퍼스, 창업 허브 등과 연계한다면, 창업-성장-재도전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혁신창업생태계가 조성될 것으로 대전시는 기대했다.
대전시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올해 설계비 5억 원, 2021년 조성비 121억 원 등 총 126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게 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 스타트업파크를 대한민국의 지역주도형 혁신창업의 성공모델로 만들어 이 성과를 전국, 나아가 전 세계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