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대 최장 장마와 태풍 영향으로 배춧값이 폭등한 가운데 한국물가정보는 가격이 안정화로 접어드는 11월 중순 이후부터 김장 준비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최근 시세로 4인 가족(20포기)의 김장을 할 경우 대형마트는 40만 원, 전통시장은 39만 원의 비용이 예상된다. 지난해와 비교해 젓갈류와 생강을 제외한 전 품목이 올랐기 때문이다.
배추는 긴 장마로 생육이 좋지 못하다. 평년보다 상품성이 떨어졌음에도 9월 초까지 11주 연속 상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김장에 쓰이는 가을배추는 70~80일 정도 키워 수분이 빠진 배추를 사용하는데, 올해는 김장 적정 시기인 11월 중순이면 속이 차고 수분이 빠진 배추가 출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재료인 양념류 가격도 많이 올랐다. 고춧가루는 상승 폭이 가장 크다. 건고추 비축물량이 부족해 가격이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새우젓과 멸치액젓은 젓새우와 멸치 어획량 감소로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지만, 각종 축제와 행사가 취소되면서 오히려 수요 부족 현상이 생겨 예년과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연구원은 "배추와 무뿐만 아니라 고춧가루, 마늘, 소금 등 김장 재료 대부분의 가격이 올랐다. 올해는 워낙 추위가 빨리 찾아와 김장을 서두르려는 가정이 크게 늘 것으로 예상되지만, 배추와 무 채소 가격이 안정되는 11월 중순 이후부터 김장을 준비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