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놀이문화와 '어부오수도(漁夫午睡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놀이문화와 '어부오수도(漁夫午睡圖)'

양동길 /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10-23 18:22
  • 수정 2020-10-23 18:24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놀이도 중요한 삶의 영역이다. 거기에서 얻는 재미와 즐거움이 치열한 삶의 상처를 치유해주고 일상의 활력소가 되어주기 때문이다. 양질의 삶과 성숙한 생의 바탕이 된다. 물론, 일이 없는 놀이는 사람을 피폐하게 만든다. 의미 없는 행위가 되고 만다. 일이 힘들수록 놀이의 즐거움 또한 커진다. 일과 놀이가 조화되면 일이 곧 놀이가 되고, 놀이가 곧 일이 되기도 한다. 뿌리가 같기 때문이다.

농경사회 이전에는 채집과 수렵, 어로가 주된 경제생활이었다. 당시로선 필수불가결한 생존방식이기도 하다. 식생활이 다양해지고 먹거리 확보가 용이해지면서, 오락적 요소가 강조된 것이 오늘날, 낚시와 사냥이다. 스포츠로 발전하기도 했다. 사냥도 낚시도 필자는 본격적으로 해 보지 않았다. 친구들과 어울려 몇 차례 거들어 본 것이 전부이다. 마니아 이야기 듣다 보면, 듣는 것만으로도 흥미진진하게 된다.



놀이는 재미있어야 한다. 재미를 주는 것이 무엇일까? 겨루기, 신명, 우연성, 표현욕과 성취감의 충족이다. 낚시와 사냥은 이런 재미 요소를 모두 갖고 있다. 다른 생명체와 겨루기를 한다. 포획 대상에 대하여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생활행태와 심리파악이 전제되어야 한다. 지피지기(知彼知己) 아닌가? 과정 하나하나를 확인하며 신명을 얻는다. 미치지 않으면 참맛을 느낄 수 없다. 이론과 달리, 심리 싸움에서 엇나가기 일쑤다. 우연성이 없으면 흥미는 반감된다. 행위를 통하여 자신의 철학과 이상을 실현한다. 더욱 깊이 성찰하게 된다. 무엇보다 진정한 사냥꾼은 야비한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나름의 정도를 지킨다. 포획하든 놓치든 결과에 대해서도 유쾌하게 수용하고 승복한다.

낚시는 어로에서 파생되기는 했지만, 반드시 물고기 낚는 것이 목적은 아니었다. 따라서 고기잡이를 업으로 삼는 어부와 구분하기도 했다. 특히 동양에서는 많은 시인묵객(詩人墨客)이 풍류와 은일(隱逸)의 수단으로 즐겼다. 어은(漁隱)으로 비유되며 은일자로 상징되기도 하였다. 은일은 동양사상의 기반이 되는 유불선 모두에서 지향하는 바가 있다. 유가는 출사를 추구하는 하편, 청빈과 탈속 같은 이상향의 지향으로 은일을 택하기도 하였다. 당초에 탈속이 주된 화두였던 도가와 불교는 말할 것도 없다.



은일 방법 또한 다양하다. 은일이라고 다 같은 것도 아니다. 세월을 낚는 겉모습은 같아 보일런지 모른다. 강태공(姜太公)과 엄자릉(嚴子陵)의 고사를 보면, 강태공은 은근히 출사를 기다린다. 고기를 낚지 않고 사람을 낚은 것이다. 엄자릉은 진정 고기를 낚고 사람을 낚지 않는다. 강태공은 벼슬길에 올랐으나 엄자릉은 광무제(光武帝)의 수차례 권유를 단호하게 물리친다.

그러한 이유일까? 낚시와 관련된 시를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심전심일까? 낚시를 소재나 주제로 한 그림 역시 마찬가지다.

더구나 단원 김홍도가 활동하던 시기는 조변석개(朝變夕改) 정국이었다. 여차하면 생사나 신분이 달라진다. 작가가 은일을 주요 소재로 다루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단원이 그린 조어도 〈도선도〉, 〈승류조어도〉, 〈어부오수도〉, 〈애내일성〉, 〈조환어주〉 등도 유가적 은일 시의도에 해당한다.

rtrtr
〈어부오수도(漁夫午睡圖)〉, 김홍도, 지본담채, 29?42cm, 개인 소장
단원이 그린 시의도 중에 '어부오수도(漁夫午睡圖)'를 보자. 늦은 봄일까? 강바람 건들 불고 살포시 비가 내린다. 물고기와 씨름하면 무엇하랴. 낚싯대 거두었다. 팔베개하고 누워 하늘을 본다. 사람은 배에게, 배는 물살에 몸을 맡긴다.

바람에 흔들리는 그림에 어울리는 활달한 필치로 '유하전탄야부지'라 썼다. 원래 두순학(杜荀鶴, 846~907, 중국 당나라 시인)의 시로 마지막 구절이다. 시 전체를 감상해 보자, 윤철규저 『시를 담은 그림, 그림을 담은 시』를 참고하면 아래와 같다.



山雨溪風卷釣絲 강산에 비 오고 강바람 부니 낚싯줄 거두고

瓦?蓬底獨斟時 배안에 들어가 막사발 술잔 기울이네

醒來睡著無人喚 술 취해 잠들어도 깨우는 사람 없으니

流下前溪也不知 앞 여울로 흘러가는 줄도 모르네.



엮시 단원 작으로 낚시하고 귀가하는 모습을 담은 그림 조환어주(釣還漁舟)에 담은 시는 아래와 같다. 모두 강태공이 됨을 경계하고자 했을까?



是非不到釣魚處 시비가 고기 낚는 데까지는 미치지 못하는데

榮辱常隨騎馬人 영욕은 항상 벼슬아치를 따라 다니네.



김홍도 사유 세계를 엿보게 한다. 어느 하나 깊이 깨우치지 못했지만, 살면서 다양한 예술을 접하고, 예술인을 경험하다보니, 두드러진 공통점이 발견된다. 상대적으로 독서량이 많고 성찰이 깊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영상물이 놀이의 전부가 되어가는 시대이다. 팬더믹으로 더 공고해지지나 않을까, 건전성을 해치지나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영상물은 폐쇄성과 은밀성이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놀이문화도 고민해봐야 할 일이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202009250100205640007814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안양시, 평촌신도시 정비 ‘청신호’ 가속
  2. 위기 미혼한부모 가정에 3000만 원 후원금 전달
  3. 자립준비청년 자기계발비 300만원 후원
  4. 천안시, '담헌달빛관' 개관
  5. 장애인 보조견 환영합니다
  1. 유성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25년 활동지원사 힐링나들이'
  2. “웃으며 배우는 가족 소통법”
  3. 대전시사회복지협의회-유한킴벌리 대전공장 사랑의 김장 나눔
  4. 취약계층 지역주민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행사
  5. 위기상황 미혼한부모 가정 위한 통합지원금 기탁

헤드라인 뉴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 민자 4000억 유치 'K-모빌리티 허브' 만든다

충남도와 당진시가 국내 기업과 손잡고 당진항 일원에 대한민국 자동차 수출을 이끌어갈 최첨단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한다. 조성이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민선8기 도가 중점 추진 중인 '베이밸리 건설'과 '당진항 수출 전진기지 육성' 전략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김태흠 충남지사는 17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오성환 당진시장, 이정환 SK 렌터카 대표이사 등과 '케이(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 조성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국 처음으로 자동차산업과 항만물류를 결합시킨 K-모빌리티 오토 허브 일반물류단지는 당진..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대전 청약시장 쏠림현상 뚜렷… 옥석가리기 심화되나

올해 대전 아파트 청약시장에서는 특정 지역으로 수요가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입지와 분양가 등 경쟁력을 갖춘 인기 단지가 선별되면서 '옥석 가리기'가 한층 심화되는 분위기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분양에 나선 '도룡자이 라피크'가 침체된 분양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끌었다. GS건설이 공급한 도룡자이 라피크는 1~2순위 청약에서 214세대 모집에 3636건이 접수되며 평균 16.9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84㎡B형은 59.16 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이며 대부분 1..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민주당, 내년 지방선거 공천 위해 모든 당원 ‘1인 1표’ 도입

2026년 6월 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공천을 위해 모든 당원에게 ‘1인 1표’를 부여하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에 착수한다. 그동안 대표나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20:1 미만으로 했던 규정을 개정해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동등하게 부여하겠다는 것이다. 정청래 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내년 6·3지방선거에서 열린 공천 시스템으로 공천 혁명을 이룩하겠다"며 "19일과 20일 이틀간 1인 1표 시대 당원 주권 정당에 대한 당원 의사를 묻는 역사적인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