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재청은 일본이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관련 권고사항을 이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추진한다.
29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올해 열리는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를 앞두고, 일본이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관련 권고사항을 이행할 수 있도록 국민적 이해를 높이고 국제 전문가의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일본은 2015년 메이지 근대산업시설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할 당시,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 노역했다고 인정했다. 이에 정보센터 설치와 같은,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해석 전략할 것을 국제사회에 약속했다.
하지만 2020년 6월 15일 일반에 공개된 산업유산정보센터에서는 희생자를 기리는 내용이 아닌, 메이지 산업혁명을 기념하는 내용 위주의 전시를 진행하는 등, 일본은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
이에 일본의 약속 이행을 촉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문화재청은 일본이 2019년 12월 유네스코에 제출한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후속조치 이행경과보고서(State of Conservation Report)'를 분석해 주요 사항을 공개한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 수많은 한국인 등이 강제 노역한 사실을 포함한 전체 역사에 대한 해설을 언급하지 않은 점 ▲ 관련 당사자들과의 대화에서 주요 당사국인 한국을 제외한 점 등 문제점을 더욱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올해에도 일본의 약속 이행을 촉구하기 위한 다각적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문체부는 올해 1분기에 세계유산위원회가 일본의 근대산업유산시설에 대해 권고한 사항과 일본의 미이행 사항을 비교해 알리는 홍보 영상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를 활용해 다양한 경로로 국내외 일반인과 전문가 집단에 일본 근대산업시설에서 이루어진 강제노동 사실과 유산 등재 이후 일본의 약속 미이행 상황을 환기한다.
문화재청은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유산을 포함한 갈등 세계유산의 해석에 대한 국제 전문가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유산, 서로 다른 기억'을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마련한다. 이번 세미나는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 개최를 전후해 2월부터 7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열린다.
한편, 일본 근대산업시설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문제는 2015년 7월 일제강점기 수많은 한국인이 강제동원됐던 7개 시설을 포함한 일본 근대산업시설 23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내용이다. 일본 측은 등재 결정시 1940년대 수많은 한국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 하에서 강제로 노역했다면서 회생자를 가리기 위한 인포메이션센터 설치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발언했다. 2017년 12월 일본 정부의 이행 경과보고서 제출했다. 이에 일본 측이 약속한 사항에 대한 조속하고 충실한 이행 필요성을 지속 제기하고 있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