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일 오전 대전시 서구 둔산동 이마트 둔산점 앞에서 열린 '대전충남지역 가습기 살균제 피해 해결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관련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
전체 사용자는 67만여명, 피해자는 7만여명으로 추산되지만, 신고율은 1%에 그쳐 자세한 피해 규모 파악과 지원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단 지적이다.
2일 환경보건시민센터가 공개한 지역별 가습기 살균제 피해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까지 정부에 신고된 대전·세종·충남지역 피해자는 566명이다. 지역별론 대전 265명, 세종 87명, 충남 214명이다. 이 중 사망자는 122명(대전 63명, 세종 17명, 충남 42명)에 이른다.
신고자 중 피해 구제 인정자는 356명(대전 166명, 세종 53명, 충남 137명)이다. 나머지 210명(대전 99명, 세종 34명, 충남 77명)은 조사결과 인정되지 않았거나, 미판정인 상태다. 추가 인정자는 지난해 12월 이후 발표되지 않고 있다.
문제는 피해자가 지역에 더 많다는 점이다.
지역 내 가습기 살균제 사용자는 67만3872명, 잠재적 피해자는 7만1780명으로 추산된다. 대전은 25만4840명이 노출됐고, 피해자가 2만7145명이다. 세종은 사용자가 5만2224명, 피해자가 4772명이며, 충남은 사용자 36만4808명, 피해자 3만8859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되고, 피해를 본 지역민이 상당수임에도 신고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대전은 1%, 세종은 1.5%에 불과했고, 충남은 0.6%에 그치고 있다. 대전과 세종은 100명 중 1명, 충남은 200명 중 1명 정도만 피해 신고가 이뤄지는 것이다.
피해 신고는 개인 차원의 보상과 지원을 넘어 진상규명을 위해 꼭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 차원의 노력은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활동을 제외하면 미미한 수준이며, 제조기업들은 아예 손을 놓은 실정이다.
이날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등 지역 환경단체는 대전 이마트 둔산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적극적인 조사와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을 약속했지만제대로 된 진상규명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피해자를 찾기 위한 적극적인 조사에 나서고,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은 물론 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