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피해 극심… 사망자 122명 달해

  • 사회/교육
  • 환경/교통

'가습기 살균제' 피해 극심… 사망자 122명 달해

대전·세종·충남, 566명 피해 신고
피해자 7만여명 추산.. 신고율 저조

  • 승인 2021-06-03 08:35
  • 수정 2021-06-07 10:15
  • 신문게재 2021-06-03 5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가습기 살균제 피해 해결 촉구 기자회견<YONHAP NO-2583>
2일 오전 대전시 서구 둔산동 이마트 둔산점 앞에서 열린 '대전충남지역 가습기 살균제 피해 해결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관련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대전과 세종, 충남지역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122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용자는 67만여명, 피해자는 7만여명으로 추산되지만, 신고율은 1%에 그쳐 자세한 피해 규모 파악과 지원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시급하단 지적이다.

2일 환경보건시민센터가 공개한 지역별 가습기 살균제 피해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까지 정부에 신고된 대전·세종·충남지역 피해자는 566명이다. 지역별론 대전 265명, 세종 87명, 충남 214명이다. 이 중 사망자는 122명(대전 63명, 세종 17명, 충남 42명)에 이른다.

신고자 중 피해 구제 인정자는 356명(대전 166명, 세종 53명, 충남 137명)이다. 나머지 210명(대전 99명, 세종 34명, 충남 77명)은 조사결과 인정되지 않았거나, 미판정인 상태다. 추가 인정자는 지난해 12월 이후 발표되지 않고 있다.



문제는 피해자가 지역에 더 많다는 점이다.

지역 내 가습기 살균제 사용자는 67만3872명, 잠재적 피해자는 7만1780명으로 추산된다. 대전은 25만4840명이 노출됐고, 피해자가 2만7145명이다. 세종은 사용자가 5만2224명, 피해자가 4772명이며, 충남은 사용자 36만4808명, 피해자 3만8859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가습기 살균제에 노출되고, 피해를 본 지역민이 상당수임에도 신고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대전은 1%, 세종은 1.5%에 불과했고, 충남은 0.6%에 그치고 있다. 대전과 세종은 100명 중 1명, 충남은 200명 중 1명 정도만 피해 신고가 이뤄지는 것이다.

피해 신고는 개인 차원의 보상과 지원을 넘어 진상규명을 위해 꼭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 차원의 노력은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활동을 제외하면 미미한 수준이며, 제조기업들은 아예 손을 놓은 실정이다.

이날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녹색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등 지역 환경단체는 대전 이마트 둔산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적극적인 조사와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이들은 "정부는 가습기 살균제 문제 해결을 약속했지만제대로 된 진상규명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피해자를 찾기 위한 적극적인 조사에 나서고,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은 물론 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 등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2.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3.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4.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5.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