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in, 문화人] 김용흠 현대무용안무가, 관객 마음에 파동을 일으키다

  • 문화
  • 공연/전시

[문화in, 문화人] 김용흠 현대무용안무가, 관객 마음에 파동을 일으키다

  • 승인 2021-10-14 15:56
  • 수정 2021-10-14 18:30
  • 신문게재 2021-10-15 10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5A9FB15F-8F51-4842-A39E-757EC1EEBD12
김용흠 현대무용 안무가 무용 모습 /대전뉴댄스페스티벌 제공
무용학과 감소로 지역무용계에서 등장하는 인재도 줄고 있는 요즘 뛰어난 실력으로 대전을 넘어 전국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젊은 무용수가 있다. 현대무용가 김용흠(31)씨다. 지역 대표 현대무용 단체인 '메타댄스프로젝트' 단원인 김 씨는 안무가로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이달에는 전국 신진 안무가들이 실력을 겨루는 제 20회 대전뉴댄스국제페스티벌 '차세대 안무가 공모전'에 출전해 당당히 대상을 수상했다. 창작 안무로 제 30회 전국무용제에서 우수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18살 때부터 무용을 시작한 김 씨는 지난해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안무가 길로 들어섰다. 군 복무 시절 춤에 대한 갈증을 느꼈던 그는 안무 노트를 만들어 꾸준히 하고 싶은 동작들을 적어왔다. 제대 후 대전문화재단 차세대 아티스트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개인공연을 열수 있게 됐고 구상해왔던 안무들을 실현하며 안무가로서도 발돋음하게 됐다. 김 씨는 "지금은 안무자 새내기 수준"이라며 "무용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안무 창작에도 욕심이 생기는데 하고 싶은 건 꼭 해야만 하는 성격이라 도전하게 됐다"고 말했다.

최근에 참가한 대전뉴댄스국제페스티벌 공모전과 전국무용제에선 '파동'을 주제로 한 창작 솔로 안무를 선보였다. 호수에 돌을 던지면 파동이 생기는 것처럼 자극에 의해 사람의 마음도 움직인다고 생각해 주제에 맞게 웨이브가 돋보이면서도 에너지가 넘치는 춤을 보여줬다. 그는 "원래부터 곡선적인 움직임을 좋아하고 이 움직임으로 사람들에게 어떻게 감동을 전할 수 있을지 고민하던 중 만들게 된 안무"라며 "작품을 보고 조금이라도 그런 감정이 들면 성공이라고 생각했는데 상까지 타게 돼 영광이었다"고 소감을 전했다.

2C3EDC14-4FA8-454B-B302-4BDF7431AD8D
김용흠 현대무용안무가 모습
엄청난 연습벌레인 그는 안무가가 된 후에는 피드백 받는 시간도 늘었다. 그는 "지금은 안무가로서 하고 싶은 안무를 할 수 있어 좋지만 종종 객관적으로 보기 어려워 질 때가 있다"며 "무용만 할 때는 표현력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안무가는 작품 전체 내용을 생각해야 하는 만큼 전문가들에게 피드백을 듣고 수정하는 시간도 중요하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평소 김 씨는 춤을 통해 긍정적이고 밝은 에너지를 관객들에게 전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밝은 분위기를 더 선호하게 됐다. 그는 "현대무용이라고 하면 보통은 기괴하고 심오한 움직임을 생각하지만 성격적으로도 밝고 편한 분위기를 좋아한다"며 "코로나 블루를 극복하기 위해 밝은 걸 더 찾게 되는 거 같다"고 설명했다.

지역에서 현대무용은 그리 대중적인 장르는 아니다. 발레 같은 고전적인 무용처럼 특정한 틀이 있는 것이 아닌 안무가마다 개성이 다른 만큼 입문하는 사람도 적은 편이다. 최근엔 지역 대학마다 무용학과들이 줄면서 새내기 무용수도 줄고 있다. 무용 강사로도 일하고 있는 그 또한 심각성을 느끼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김 씨는 대전에서 현대무용을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그는 "대전에서 음악 장르의 경우는 관객층이 두텁지만 무용은 아직 약하다고 본다"며 "관객들에게 화려한 눈요깃거리든 작품 내용을 감동적이든 하나는 전달해야 한다" "관객들의 마음에 울림을 줄 수 있는 안무가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2.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3.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4.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5.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헤드라인 뉴스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 충청 U대회 성공은 국가균형발전과 충청 성장동력 모델”

2027년 충청권 4개 시·도가 개최하는 충청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U대회)를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미래 성장동력의 엔진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이를 위해 정책적·제도적 지원은 물론 충분한 예산 확보가 필요하고, 특히 4개 시·도의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비롯해 산업과 관광 등 특성을 활용한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제언도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 박수현(충남 공주·부여·청양)·국민의힘 이종배(충북 충주) 국회의원 주최로 27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2027 충청 U대회 성공..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