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랑올랑 새책]별볼일 없는 이들의 평범한 일상이 만든 위대함

  • 문화
  • 문화/출판

[올랑올랑 새책]별볼일 없는 이들의 평범한 일상이 만든 위대함

꽃의 연약함이 공간을 관통한다
패터슨

  • 승인 2021-12-24 09:02
  • 오희룡 기자오희룡 기자
TL
▲게티이미지뱅크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 Dead Poets Society)'는 영화속 죽은 시인을 추모하며 그들이 생전에 남기고 간 명시를 암송하는 모임이다.

치열한 입시 경쟁을 치루던 당시 우리 사회에서 이 죽은 시인의 사회는 자유롭고 주도적인 대명사로 인식됐지만, 이제와 생각하면 '시를 암송하는' 이 '죽은 시인의 사회' 모임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낭만적이다. 책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도 의학, 법률, 경제, 기술 따위는 삶의 도구가 되지만 시와 아름다움, 낭만과 사랑은 삶의 목적이라는 말이 나온다.

어느 시절에는 약속 장소가 시내의 대형 서점일 때도 있었다. 몇 시께로 시간을 정하고 서점에서 책을 읽다 보면 어느새 친구가 옆에서 다른 책을 읽기 시작한다. 같은 공간에 서로의 존재를 직감하면 이내 읽고 있던 책으로 마저 집중한다. 언제 오는지 목을 빼며 기다리지도, 늦게 온다고 눈치를 주지 않고 그냥 '거기 서점에서 보자'고 약속하던 그 시절 이야기다.

어느덧 죽은 시인의 사회를 지나 시가 죽은 사회가 됐다. 시를 읽기 보다는 컴퓨터와 휴대폰이 익숙한 시대에 시간과 공간과 시절과 사람을 담는 '시'는 쉬운 말을 일부러 복잡하고 어렵게 조합한 단어의 나열일 뿐이다. 서점에서 책 냄새 맡으며 책을 고르고, 좋아하는 작가의 책을 집어 들던 시대는 가고 이제는 '어려운 인간 관계'의 비법과 '우울한 내 마음을 달래주는' 문구에 홀려 책을 주문한다. '내'가 문제인지, '네'가 문제인지, '지금 사회'가 문제인지를 분석하며 '그러니까 지금 내 문제는 사회 시스템적으로 어쩔수 없는 부분'이라는 말에 위안을 삼는다. 그런 세상에서 시가 자리할 부분은 한 뼘쯤 되려나..



책1
▲바탕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그런점에서 보면 이번에 나란히 출간된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의 시집 '꽃의 연약함이 공간을 관통한다'(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지음·정은귀 옮김, 민음사 펴냄, 420쪽), '패터슨'(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지음·정은귀 옮김, 민음사 펴냄, 504쪽)은 생각지 못한 몽글몽글한 추억 한줌을 손에 쥔 것이나 반갑다.

T.S.엘리엇, 에즈라 파운드와 함께 비트 제너레이션(패배한 세대, 미현대문학의 한 조류)에 큰 영향을 줬던 윌리엄스의 시집이 국내에 소개된 것은 처음이다.

윌리엄스의 시는 특별할 것이 없는 평범한 이들의 이야기다. 고향 리더퍼드에서 소아과 의사로 일하며 시를 쓴 윌리엄스는 낙후된 고향에서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인 '별 볼일 없는 이들, 그 끔찍한 얼굴의 아름다움'을 노래해왔다.

'꽃의 연약함...'이 "한행도 무의미한 부분이 없다"로 평가 받았던 '원하는 이에게'에서 1938년까지의 작품을 담았다면, '패터슨'은 후기 작품들과 연작시 '패터슨'을 묶었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2.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5.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