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기대한다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기대한다

서준원 정치학 박사

  • 승인 2022-05-09 08:29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서준원사진(2)
서준원 박사
우여곡절 끝에 정권이 바뀌고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다. 10일 취임식을 시작으로 윤 정부의 출범을 기다리는 국민의 심경도 마냥 기쁠 수도 없고 한편으론 싱숭생숭하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 희망과 기대감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출발부터 이래저래 뭔가 착잡하고 말끔하게 다가오지 않고 있다. 야당의 청문회 공세를 보면 총리와 각 부처 장관 취임이 언제 완성될지 회의적인 탓이다. 인선은 늘 어려운 문제지만, 그렇다 해도 정치권의 화해와 타협의 기본적인 인식과 행위가 참 아쉽다. 새 정부의 출발을 ‘내로남불’식으로 취급한들 누구에게 보탬이 되겠는가.

다른 한편으론 떠나는 문재인 정권은 새 정부에 대한 포용과 덕담도 인색하고 업적과 회한을 자화자찬으로 쏟아냈다. 아쉬움과 실정에 대한 일말의 진심 어린 언급조차 인색하다. 청와대가 국민방문지로 볼거리와 쉼터 등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문 정권이 소소한 제반 조치라도 취해줬으면 평가받을 일이었다. 문 정부는 광화문 시대를 열겠다고 호언했지만 출범 이후 슬그머니 가라앉아 버렸다. 아무리 탁월한 지도자라도 국정운영 과정에서 공과가 상존하지만, 문 정부는 공만 내세우고 과에 대한 진솔한 자평에 지나치게 몸을 움츠리고 있다. 국민을 둘로 나눠 자신의 지지자들만 바라보고 있는 탓이다. 갈등과 분열의 양날을 휘두르는 국정운영의 결과가 어떤지 우리 국민은 지금도 경험하고 있다. 게다가 국회에서 압도적인 우세를 점하고 있는 야당도 이런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새 정부는 결코 순탄치 못한 정치환경 하에서 출범하고 있다.

최근 ‘검수완박’의 진행과정을 봐도 합리적인 토론과 여론수렴 노력이 턱없이 취약했다. 자신들을 향한 칼날의 예봉을 꺾었다지만, 검찰 출신의 새 대통령에 대한 무언의 시위이자 저항으로 여겨질 정도다. 더불어민주당은 공수처 설치와 조국 교수 건 등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이끌었던 굵직한 이슈들도 의석수의 힘으로 맞섰다. 정권은 바뀌었지만 여소야대의 형국인지라 윤 정부의 국정운영이 이래저래 지난 할 것으로 보인다. 대선 패배의 후유증 탓에 야당의 울분과 실망감을 감안해도 현 정국을 대하는 대응방법과 수준이 마뜩치않다. 이런 현상에 대한 결과는 오는 지방선거에서 드러날 것이다. 스포츠도 선거도 일종의 게임이고, 게임이 끝나면 깨끗하게 승복하고 상대를 인정하는 게 상식이자 도리다.

문 정부 하에서 지도자의 옹졸함과 답답함 그리고 정치권의 갈등과 대립이 이전보다 더 강해진 것 같다. 정치환경이 그만큼 더 척박해진 것이다. 화해와 타협의 전형적인 정치도구마저 상실된 것 같다. 상대를 인정하고 쌍방이 타협과 협조를 하는 상생의 정치문화가 갈수록 피폐해진 것이다. 이래서야 협의민주주의 가치가 제대로 발현되겠는가. 새 정부가 출발부터 제구실을 못 하게 마냥 흔들면, 그런 결과의 부담과 고통이 국민에게 넘겨질 뿐이다. 그래서 정권교체 직후부터 일정 기간은 ‘허니문’ 기간이 주어지는 것이 정치적 도리이자 관례로 취급되고 있다. 이 시기만큼이라도 새 정부는 기틀을 다잡고, 국민은 희망과 기대감을 키워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목하 유럽에서 발발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은 세계정치와 경제구도를 엄청나게 변혁시킬 것이다. 특히 안보에 대한 각국의 각축전과 경제분야의 대비태세 분위기가 확산될 것이다. 유렵의 세력구도 변화조짐은 세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간과할 일이 절대 아니다.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의 영상을 통한 절규 장면을 소수 의원들이 지켜보는 낯부끄러운 장면이 자꾸 떠오른다. 국내정치의 혼란과 갈등에 함몰되어 세계화의 침몰을 한가하게 지켜만 볼 것인가. 미국의 바이든 대통령이 윤 정부를 서둘러 방문하는 배경을 새 정부와 국회는 주시해야 한다. 특히 북한의 동태를 세밀하게 재점검하고 대내외적인 사안에 대한 여야의 협의와 타협을 통한 원만한 국정운영을 고대한다. 정치적 보복과 대결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순환의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런 악순환의 고리를 과감하게 끊을 때도 됐다고 본다.

윤석열의 등장은 검찰 출신 대통령이란 초유의 사건이자 혁명적인 변화다. 정치사에서도 유례없는 사례다. 윤 대통령은 주변의 인재들을 적극 등용해 실천 가능하고 합리적인 정책집행 과정을 잘 이끌어주길 기대한다. 윤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하며, 부디 성공한 대통령과 정부가 되기를 기대한다. /서준원 정치학 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전공의 돌아온 대학병원 '활기' 속에 저연차 위주·필수과목 낮은 복귀율 '숙제'
  3.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서 승용차가 중앙분리대 들이받아… 1명 숨져
  4.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전략사령관 내정, 군내 4성 장군 전원 교체
  5. 충청권 의대 중도이탈자 증가… 의대 모집정원 확대에 수도권행 심화
  1.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2.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3. "탈시설을 말하다"… 충북장애인인권영화제 4일 개최
  4. [2026 수시특집-배재대] 1863명(정원 내) 선발… "수능최저 없애고 전과·융합전공 자유롭게"
  5. 폭염 속 건설현장 근로자 마음응원 캠페인…마음구호 키트 나눔도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