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노년의 삶의 무늬, 스승 오인환 <한성 경성 서울을 누비다>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노년의 삶의 무늬, 스승 오인환 <한성 경성 서울을 누비다>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승인 2022-10-31 08:23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이승선 교수
이승선 교수
백년설은 여러 노래를 불렀다. <번지 없는 주막>과 <나그네 설움>이 특히 유명하다. <번지 없는 주막>은 '문패도 번지수도 없는 주막'으로 읊조려진다. 백두산 어귀의 주점으로 추정한다. <나그네 설움>의 1절은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 없는 이 발길'로 운을 뗀다. 2절의 시작은 '낯익은 거리다마는 이국보다 차가워라'다. 나라를 잃은 조선의 청년들이 정처마저 잃고 하염없이 헤매며 거리를 거닐었다. 경찰에 붙들려 간 백년설이 치도곤을 당하고 석방된 어느 날 저녁, 어떤 대폿집. 조경환이 가사를 짓고 이재호가 곡을 붙인 노래를 백년설이 불렀다. 비록 그날의 그 대폿집 문패와 번지수를 알 길은 없으나 '이국보다 차가웠던 낯익은 거리'는 조선총독부가 삼켜버린 경성의 종로경찰서 앞길이었다. 나그네들이 헤매던 거리가 '종로경찰서 앞'이라는 구체적 기록으로 드러나면서, 노랫말의 서사에 피와 살이 붙고, 노래가 생명을 얻었다.

언론인과 언론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에게도 <독립신문>은 익히 알려진 언론매체다. 1896년 서재필 등이 발행한 <독립신문>과 1919년 상해 임시정부에서 발행한 <독립신문>이 있다.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신문은 창간호에서 정치적으로 편벽되지 않을 것이며 공평하게 보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람을 차별하지 않고 정부와 백성 간의 소통을 도모하겠다고 천명했다. 또 상하귀천과 남녀를 불문하고 모두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한글 띄어쓰기를 했다. 독립신문은 논설에서 '바른대로'만 취재하고 보도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부 관원이라도 잘못하면 보도할 것이요, 탐관오리의 행적을 낱낱이 파헤칠 것이며, 사사로운 여염집 백성이라도 무법한 자는 찾아내 보도하겠노라고 선언했다. 서울에 사는 사람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의 인민을 위해 신문을 발행하겠노라고 말했다.

독립신문은 논설보다 '광고'를 상단에 편집했다. 독자들의 불만 접수와 투고를 환영하며 부산과 원산 인천 등지에 분국을 설치했다는 것을 알렸다. 거리에서 신문을 판매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열부 중에 두 부, 백부 중에 이십 부를 덤으로 끼워준다는 판매정보도 실었다. 더 중요한 정보를 제시했다. 신문구독료였다. 한 장에 동전 한 푼을 받았다. 구독료는 월 십이 전이며 연간 일원 삼십 전이었다. 정기구독을 하고 싶은 사람은 '정동 신문사'로 와서 돈을 미리 내고 성명과 주소를 적어 놓고 가라고 안내했다. 독립신문을 구독하고 싶은 백성들은 서울 정동의 어디로 찾아가야 했을까, 신문사는 구체적으로 그 거리의 어디에 있었을까? 우리는 그 마땅한 질문을 당연한 것으로 질문하지 못했다.

정년퇴임을 바로 앞에 둔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묻혀질 뻔한 이 질문을 했다. 2000년 가을 마지막 학기 어느 날, 오인환 교수는 제자들과 차담을 나누고 있었다. 그러다가 '문득' 우연한 호기심인 것처럼, 독립신문사가 어디에 있었는지 궁금하다는 질문을 던졌다. 스승은 스스로 놀랐다. 통신사 기자로 10년, 언론학 교수로 사반세기, 언론학 분야에서 반세기를 살아오면서 한 번도 묻지 않았던 질문이었다. 스승은 한국 언론이 '신문의 날'로 정해 기념해 온 독립신문의 사옥 터가 어디였는지 아무도 모른다는 사실에 전율했다.



스승은 정년퇴임 후 22년간, 한국 언론의 자취를 찾아 서울의 거리를 구석구석 누볐다. 2008년 <100년 전 한성을 누비다>, 2018년 <일제 강점기 경성을 누비다> 그리고 올해 <해방공간 서울을 누비다>를 펴냈다. 책에는 신문사들의 창간호와 신문사 사옥의 위치 정보가 고스란히 새겨져 있다. 스승은 이 책들을 우리나라 앞날의 갈림길에서 역투한 대선배 언론인들에게 바친다고 쓰셨다. 스승은 1935년생, 우리 나이로 아흔이다. 학자로서 노년의 삶이 얼마나 치열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신다. 1883년 한성에서 발행된 <한성순보>를 기준으로 하자면, 한국 신문 140년사에 아무도 하지 못했던 일을 스승이 일궈냈다. 오로지 당신의 발품을 팔아서 이룬 성과다.

사람의 생각과 삶에는 무늬가 있다. 그 사람의 생애 전부가 담긴 무늬다. 스승은 '우연한 기회에 문득' 던진 질문이라고 자세를 낮추셨으나, 우리는 그의 생애가 전부 담긴 매우 당연한 스승의 '질문'이라고 해석한다. 정년퇴임 전 스승의 삶이 그러하셨다. 퇴임 후에 스승께서는 역시 행동으로 여전히 같은 답을 보여주셨다. 정년 후 사반세기의 생애를 바쳐 한성과 경성과 서울을 누비고 '언론지리지'(言論地理誌) 세 권을 펴낸 스승의 노년은 아름답다. 스승의 그윽한 삶의 무늬에 머리 숙인다.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2.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 유성선병원 변승원 전문의, 산부인과내시경학회 학술대회 우수상
  4. 대전시의사회, 성분명 처방 의무화 반대 성명…"의약분업의 기본 원칙 침해"
  5. 자치경찰제 논의의 시작은..."분권에 의한 민주적 통제 강화"
  1. 함께 노래하는 대전 의사들 20년 맞이 정기공연…디하모니 19일 무대
  2. 아산시 소재 고등학교에 나흘 사이에 2번 폭발물 설치 허위 신고
  3. 나에게 맞는 진로는?
  4.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5. 대전대덕우체국 노사 재배 고구마 지역에 기부

헤드라인 뉴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충청 메가시티 잇는 BRT… 세계적 롤모델 향해 달린다

행정중심복합도시의 간선급행버스체계인 BRT '바로타' 이용자 수가 지난해 1200만 명을 돌파, 하루 평균 이용객 3만 명에 달하며 대중교통의 핵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행복청은 '더 나은 바로타'를 위한 5대 개선 과제를 추진해 행정수도 세종을 넘어 충청권 메가시티의 대동맥으로, 더 나아가 세계적 BRT 롤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강주엽·이하 행복청)은 행복도시의 대중교통 핵심축으로 성공적으로 자리매김한 BRT '바로타'를 세계적 수준의 BRT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17일 밝혔다. 행복청에 따르면..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32사단 과학화예비군훈련장 세종에 개장… '견고한 통합방위작전 수행'

육군 제32보병사단은 10월 16일 세종시 위치한 예비군훈련장을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융합한 훈련시설로 재개장했다. 제32보병사단(사단장 김지면 소장)은 이날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 과학화예비군훈련장 개장식을 갖고 시설을 점검했다. 과학화예비군훈련장은 국방개혁 4.0의 추진과제 중 하나인 군 구조개편과 연계해, 그동안 예비군 훈련 간 제기되었던 긴 대기시간과 노후시설 및 장비에 대한 불편함, 비효율적인 단순 반복형 훈련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추진됐다. 제32보병사단은 지난 23년부터..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